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박천웅 이스트스프링운용 대표, "저성장 시대엔 소비주가 투자 대안"


저성장 시대에는 구조적 성장주인 소비주가 투자 대안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나왔다.


박천웅 이스트스프링자산운용 대표이사는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시장은 뉴 노멀(New Normal) 시대가 끝나가고 있지만 한국 시장은 저성장·고령화로 뉴 노멀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저성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투자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하며 소비주가 대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 노멀이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장기 저성장 국면을 뜻한다.

관련기사



박 대표는 "제조업과 수출 위주의 한국 경제구조는 이제 성장성에 한계가 온 것으로 보인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이머징국가의 내수주와 서비스·유틸리티·모바일·유통·건자재·물류 등 외부 변수 영향이 작으면서 기업가치가 오를 수 있는 소비주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미국은 부동산 및 주식가치 상승에 따른 자산효과로 고용과 투자 확대가 본격화되고 중국은 구조 개혁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부양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의 경기회복은 더디지만 저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이후 주식으로 자본이 이동하는 그레이트 로테이션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한국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금리도 하락세를 보이는 등 저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중국의 거센 도전으로 수출주들의 성장성에도 한계가 올 것으로 분석했다.


노현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