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15(화) 14:33
한일문화교류정책자문위원회(위원장 池明觀 한림대 일본학연구소소장)는 오는 18일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동북아시아의 문화와 한일관계' 란 주제로 한.일 문화 심포지엄을 갖는다. 이날 발표될 기조강연 내용을 미리 입수하여 소개한다.
◇문화 자유화의 시비에 대하여(쯔쯔미 세이지(堤 淸二) 세존그룹 회장) = 오늘날 일본의 문화상황은 박물관 등 문화시설은 훌륭한데 비해 전시물 등 문화 내용은미흡하다. 문화예술 창조력도 빈곤한 편이다.
특히 대중문화에는 반윤리성, 몰사상, 비역사성이 내재돼있다. 성의 상품화라든가 전범에 대한 영웅시가 그 예이다.
또 일본의 문화예술을 통시적으로 보면 명치유신, 태평양전쟁 패전 당시, 현재의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패전당시에는 일본적인 것이 야만시되는 풍조가 생겨났으며 오늘날의 소비사회 역시 과거의 문화 및 전통과는 단절돼 있다.
산업.소비사회에서는 속악한 문화가 전통문화를 구축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 예술 분야는 시장원리로만 평가해서는 안되며 일반 소비재와 문화재를 혼동해서도 안된다. 문화는 국가 정체성 수호 차원에서 중요하다.
우루과이라운드 협상과정에서 프랑스와 독일의 경우가 좋은 예인데, 일본에는이러한 문화적 자각의식이 희박하다.
◇바람직한 한일문화교류정책의 기본방향(姜萬吉 고려대 교수) = 20세기 전반기는 자본주의 문화가 후진국 문화를, 식민 지배국 문화가 식민지 문화를 강압적으로동화시켰다. 후반기는 미국 중심의 서구문화가 기타 문화를 획일화시키는 시대다.
그러나 21세기는 문화제국주의도 획일화시대도 아닌 다양성 속에서 평화공존을모색하는 문화주의 시대다. 다른 지역.민족간의 문화교류가 의미있다.
21세기 동아시아 문화권의 패러다임은 통일 한반도의 문화가 중국.일본 문화와차별화되는 바탕위에 상호 우호적이고 평화적인 균형이 이뤄지는 형태가 돼야한다.
유럽, 미국 등 기타 지역과도 차별성을 확립해야한다.
특히 한국은 일제 강점 기간의 문화적 강제 편입과 동화된 역사적 사실을 감안할 때 식민지적 피해의 치유를 위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한일문화 교류는 시장원리대로 무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는 없으며 일정한 제한이 불가피하다.
<<연중 영/화/무/료/시/사/회… 일간스포츠 텔콤 ☎700-9001(77번코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