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연 “기아 3자인수 바람직”/재경원 입장 대변… 파문예상

금융연구원은 경영진퇴진문제로 난항을 보이고 있는 기아그룹의 처리방안에 대해 제3자인수를 추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금융연구원(원장 박영철)은 최근 재정경제원의 의뢰로 작성한 「기업부실화 현황과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제3자에 의한 기아인수가 경제적 측면에서 기아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채권단의 채권회수 기회를 최대한 확보하는데 가장 타당한 방안이라고 평가했다. 기아그룹의 처리를 불과 2주일 앞둔 시점에서 재정경제원의 지시로 이같은 분석이 이루어졌고 기아그룹의 구체적인 제3자인수 방안이 자세하게 제시돼 상당한 파문이 예상된다. 보고서는 제3자 인수에 가장 큰 걸림돌은 현 경영진의 반대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채권단이 보다 강력한 제재수단의 활용을 통해 기아의 주주집단이 재산권 보전을 위해 경영층에 압력을 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제3자인수 방법과 관련, 기아와 같이 주식분산이 잘 되어 있는 회사는 공개매수방식이 유리하고 이 경우 기존 경영층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실시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공개매수에는 포드 등 기아경영진에 우호적인 주주의 주식지분이 50%에 달해 경영권 획득을 위한 지분확보가 어렵고 경제력집중문제에 대한 반대여론이 적지않다는 점 등이 인수기업의 출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밖에 부채가 많은 기아의 인수를 쉽게 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하거나 부실화된 채권을 지분으로 전환하여 제3자에게 양도해 인수를 지원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금융연구원은 그러나 기아를 부도처리한 후 현 경영진을 퇴진시키고 공개입찰 또는 수의계약 등으로 3자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협력사의 연쇄부도로 경제적 충격이 크고 기아의 경우 영업망 및 협력업체와의 관계 등 무형자산가치의 손실이 커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했다.<이형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