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요미우리신문은 지난주 말 인도를 방문한 아베 신조 총리가 지난 26일 인도 '공화국기념일' 행사의 군사 퍼레이드에 일본 총리로는 처음으로 참석해 양국 간 긴밀한 안보협력 관계를 과시했다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이번 인도 방문에서 2,100억엔에 달하는 엔 차관 공여와 일본 기업들의 인프라 투자 지원을 약속하는 등 경제협력을 대폭 강화했지만 중국 견제를 목적으로 인도와의 안보협력을 한 단계 높인 것으로 평가된다.
이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양국 정부는 일본 해상자위대의 구난비행정 US-2를 인도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US-2는 대당 가격이 100억엔을 웃도는 일본산 비행정으로 3m의 파고에서도 착수 가능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 일본은 5월부터 인도가 관심을 표명해온 US-2 수입이 비싼 가격 문제로 난항을 겪자 아예 제조사가 해당 기종을 현지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인도의 수입단가를 낮추기 위한 것이지만 양국 항공산업의 협력관계를 강화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25일부터 이날까지 인도를 방문한 아베 총리는 앞서 이날 만모한 싱 인도 총리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US-2를 "공동 생산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양국 정상들은 또 안보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인도 안보고문 간 협의를 정례화하고 2009년 이래 중단된 미·일·인도 3국 해상 공동훈련도 재개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비행정 현지생산까지 논의할 정도로 급속히 가까워진 일본과 인도의 전략적 관계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27일 인도 일간 타임스오브인디아에 따르면 인도는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지역인 동북부에 대한 일본의 인프라 투자까지 요청했다. 인도가 도로건설 등 일본 기업들의 투자를 요청한 아루나찰프라데시주는 중국이 9만㎢가량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는 지역이다.
양국은 1996년 4,000여㎞의 접경지역에 사실상의 국경선인 실질통제선을 설정한 상태지만 여전히 분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가 해당 지역에 대한 일본의 투자를 요청한 것은 단순한 경제협력 강화가 아니라 중국에 대한 확고한 견제 의지를 드러내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중국의 반발이 불가피한 가운데 대중관계를 무시할 수 없는 일본 기업들이 중국과 인도의 갈등에까지 말려들게 될 이번 제안을 받아들일지 여부는 미지수다.
중일갈등으로 동북아 정세가 얼어붙은 가운데 노골적으로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있는 양국의 행보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현지시간) 양국 관계가 중대하고 새로운 단계로 올라섰다고 평가했다. 아베 총리의 이번 방문은 지난해 일왕 부부와 만모한 싱 총리가 서로 상대국을 방문하는 등 잦은 최고위급 교류를 이어온 가운데 이뤄진 것으로 두 정상 모두 중국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갈수록 확대되는 중국의 군사력이 양국관계를 긴밀하게 만들고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아베 총리는 앞서 공동성명 발표 후 기자회견에서 "일본과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가능성을 담은 관계"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