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영재선발과정 문제많다"

고소득층 자녀 유리… 수학·과학 분야 편중, 인문학·외국체류·실용예술 학생은 소외

"영재선발과정 문제많다" 고소득층 자녀 유리… 수학·과학 분야 편중, 인문학·외국체류·실용예술 학생은 소외 영재교육이 수학ㆍ과학 분야의 선행학습 우등생을 위주로 이루어지는 등 문제점이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부모의 학력과 경제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영재로 선발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개최한 '영재교육 활성화' 포럼에서 조석희 영재교육연구실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국내 영재 선발방식은 학업성적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아무리 재능이 뛰어나도 성적이 좋지 않으면 추천 단계부터 배제된다"고 주장했다. 학업 성적을 위주로 영재를 뽑다 보니 국내 영재교육기관의 수학ㆍ과학 영재는 각각 39.4%, 42.9%에 달하는 반면 인문, 사회, 예ㆍ체능분야 영재는 17.7%에 불과하다는 것.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도 전체 학생의 0.28%에 그치고 있다. 선진국은 과학과 수학 외에도 언어, 경제, 철학, 문학, 기계, 영화, 미디어, 만화, 사진, 디자인, 연극 등 다양한 분야의 영재를 발굴하고 있어 영재교육 대상자가 싱가포르 1%, 이스라엘 3%, 호주ㆍ캐나다ㆍ뉴질랜드 3~5%, 미국 15% 등이다. 또 초등학교 영재아 부모의 학력 및 경제력이 일반아 부모보다 높고 영재아 가운데 여학생의 비율도 크게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의 월소득이 200만원 이상인 가정은 보통아 3.4%, 영재아 17.3%였고 아버지가 대학원졸 이상인 가정도 보통아 29.6%, 영재아 39.6%였으며 과학고 학생 중 여학생 비율은 1983~1987년 0%에서 1988년 0.9%, 2001년 35.4%로 급증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설치된 과학영재학교의 여학생 비율은 20%에 그쳤다. 학부모의 교육열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2000년 4월 공포된 영재교육진흥법 시행령이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을 영재교육 대상으로 삼고 있어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학생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없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조 실장은 "영재성의 개념 중 '잠재성이 뛰어난'이라는 측면을 더 강조해야 하며 영재교육 대상을 초등학교 1학년으로 낮추고 소외된 영재를 위한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석영 기자 sychoi@sed.co.kr 입력시간 : 2004-05-28 18:4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