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민 환승으로 1인당 연 53만원 아꼈다

교통카드 사용률 95%, 카드 쓴 3명 중 2명 환승

서울시, 내년까지 시내버스 하차단말기 2대로 증설


서울시민의 95.4%는 시내버스에 탑승하면서 현금이 아닌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카드 이용 시민 3명 중 2명은 환승을 해 1인당 연간 53만원의 교통비를 절감한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시는 올 들어 지난 8월 말까지 시내버스를 이용한 시민을 상대로 전수 조사를 해보니 이같이 파악됐다고 21일 밝혔다. 교통카드 이용률은 2004년 대중교통 환승 할인 시스템 도입 당시 82.5%에서 2008년 90%를 기록한 바 있다.

교통카드를 이용해 시내버스에서 지하철, 마을버스, 다른 시내버스 등으로 갈아타는 시민은 58.2%에 달했다. 교통카드 이용 시민 3명 중 2명이 환승을 하는 셈이다. 1차례 환승 비율은 84.6%, 2차례 이상은 16.4%였다.


지난해 시민이 환승 덕분에 절감한 교통비는 1인당 53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각 교통수단을 별도로 이용했을 때 들어갈 비용에서 실제 들어간 비용을 뺀 금액이다.

관련기사



교통카드 중 후불 신용카드 사용률은 63.4%, 선불카드 사용률은 36.6%였다.

서울시가 지난달 27일 목요일 하루 동안 교통카드 사용패턴을 전수조사한 결과 시내버스에 탑승해 한 번에 가장 멀리 이동한 거리는 74km였다. 하루 동안 가장 많이 이용한 횟수는 29차례, 최대 이용금액은 3만7천440원, 최다 이용인원은 120명이었다.

서울시는 시내버스 카드 이용이 보편화함에 따라 내년까지 시내버스 하차 때 불편이 없도록 모든 시내버스에 장착된 하차단말기를 2대로 늘릴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간과하기 쉬운 교통카드 이용법을 소개했다.

선불교통카드 이용 때 적어도 250원 이상 남아 있어야 다음 교통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고, 만 6세 미만 어린이가 보호자 없이 버스를 혼자 탄다면 450원의 요금을 내야 한다.

버스 하차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한 경우 지선 간선버스는 2시간 이내, 마을버스는 30분 이내 다시 접촉하면 요금이 처리되지 않는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