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PDA폰 보조금 사실상 '유명무실'

PDA(개인휴대단말기)폰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지난 16일부터 허용됐지만 정작 지급 주체인 이동통신사들은 사실상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을 방침이다.이에 따라 정부의 보조금 허용으로 시장 활성화를 기대했던 PDA 업계는 마케팅에 심각한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등 이통3사는 PDA폰에 최고 25%의 보조금을 지급할 경우 경영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인식 아래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시장상황을 지켜보며 방침을 정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말 출시한 ‘M400’이나 LG전자의 ‘SC8000’에 대한 시장반응이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황을 좀더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LG텔레콤은 단순히 PDA폰의 가격을 끌어내리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 회 사 관계자는 “PDA폰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지 못한 채 일정관리 등의 기 능이 추가된 휴대전화 대체품으로 활용된다면 보조금은 무용지물에 불과하 다”고 말했다. KT와 KTF가 최고 25%의 보조금 지급을 검토하고 있지만 이 역시 무선 랜과 휴대폰 결합서비스인 ‘네스팟 스윙’용 단말기로 제한하는 등 보조금 지급에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KT는 사이버뱅크가 제조한 네스팟스윙 단말기 ‘포즈X-301’에 보조금 25%를 지급하기로 하고 KTF와 협의 중이지 만 KTF는 지급수준을 10∼20%로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조금 지급이 이뤄지지 않 는다면 자체 유통망을 통해 판매할 수밖에 없다”면서 시장 활성화에 차질 이 빚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G전자도 이통사들이 보조금 지급을 거부하면 지난해 말 기준 20만대 수준에 불과한 PDA시장은 침체가 계속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신기술 개발ㆍ육성과 신규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보조금 지급을 허용했지만 지급 여부는 이통 3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김문섭 기자 clooney@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김문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