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1월1일] 일기


1660년 1월1일, 새뮤얼 피프스(Samuel Pepysㆍ1633~1703)가 일기장을 펼쳤다. ‘신의 은총으로 지난해 말에는 감기 한번 안 걸리고 건강하게 지냈다. (…)’ 이렇게 시작된 일기는 지나친 독서로 실명 위기를 맞은 1669년 5월 말에서야 멈췄다. 만 9년5개월보다 훨씬 긴 기간을 담은 일기도 없지 않지만 피프스는 근대 일기문학의 효시로 손꼽힌다. 국왕의 애첩들을 보고 느낀 성적 충동까지 암호문 형식으로 적어나간 그의 일기에는 흑사병(1665)과 런던 대화재(1666), 2차 영란전쟁(1665~1667) 등 주요 사건도 생생하게 담았다. 양복재단사의 아들로 태어난 피프스는 실력 하나로 해군 대신까지 오른 인물. 대영제국 해군력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다. 해군성에 근무하던 29년간 주요 전함은 두 배, 함포와 수송력은 각각 세 배로 늘어났다. 능력도 없으면서 고위 계급을 요구하는 귀족 출신 장교들을 걸러내기 위해 인성 및 적성검사를 포함한 승진시험도 처음 도입했다. 마취제도 없던 시절 국부를 째는 수술에 자원해 결석을 빼낸 일화로도 유명하다. 중력의 법칙을 발견한 천재 과학자 아이작 뉴턴의 대표저술 ‘프린키피아’의 표지에도 하원의원이자 왕립협회 회장이었던 피프스의 이름이 들어 있다. 경매시장에 나온다면 수백억원을 호가할 피프스의 일기는 모교인 케임브리지대학 도서관에 기증한 장서 3,000여권과 함께 전해져 내려온다. 다방면에서 이름을 날렸던 것도 광범위한 독서 덕분이다. 웬만한 지식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기만 해도 습득할 수 있는 세상, 인터넷이 모든 정보를 전달해주는 시대지만 전통적인 읽기와 쓰기는 여전히 유효하다. 신년을 새롭게 시작하고 싶다면 펜을 드시라. 머리로 생각하고 손으로 쓰는 일기만큼 뛰어난 자기계발과 성찰의 수단도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