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日 '北선박 검색활동 계획'

쓰시마해협 등에 해상 자위대<br>한국은 동해·서해 2곳 맡을듯

일본 정부가 쓰시마(對馬) 해협과 오키나와(沖繩) 해역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에 따른 선박 검색을 실시할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22일 요미우리신문이 입수, 보도한 ‘선박 검사활동 계획개요’에 따르면 일본 해상자위대는 대마도 동쪽 해상교통의 요지인 쓰시마 해협과 오키나와 해역에 구축함과 P3C 초계기를 배치, 동해와 황해를 통해 북한을 오가는 화물선에 대해 경계ㆍ감시를 강화하기로 했다. 해상 자위대는 두 곳의 해역에서 의심스러운 선박이 발견되면 북한 연안의 공해에서 감시활동을 펼치는 미군 등에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 한반도 주변 해역의 상공에서는 해상자위대 소속의 P3C 외에도 항공자위대 소속 공중조기경보기(AWACS)나 E2C 등을 동원해 북한 전투기가 접근하는지 감시하게 된다. 상공 감시 중 수상한 선박을 발견했을 때 북한 주변 공해상에서 감시하는 미군 등에 통보하는 것도 일본측 임무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 고위관계자의 말을 인용, 한반도 주변에서 벌어질 선박 검색에 미국ㆍ일본 외에도 한국ㆍ호주ㆍ러시아ㆍ영국ㆍ프랑스 등의 선박이 참가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만약 계획대로 이들 국가가 선박 검색에 참여할 경우 한국이 맡아야 하는 해역은 한반도 주변의 동해와 황해 두 곳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 정부는 지난 18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의 방문 후 선박 검색에 대한 양국 실무자 단계 협의를 시작했으며 관계국과 조정을 거친 뒤 최종 계획을 세울 방침이라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한편 미 정보당국이 유엔 안보리의 금수대상 물질을 적재한 것으로 의심, 추격 중인 북한 선박은 동중국해를 지나 남하 중이라고 일본 언론들이 보도했다. 20일 남포항을 출발한 이 선박은 싱가포르 인근 말라카해협을 거쳐 인도양을 빠져나가는 항로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이 선박을 해상에서 검색하지 않고 연료 및 식량 등을 공급받기 위해 제3국에 기항하거나 최종 목적지에서 해당국에 검색을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