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리빙 앤 조이] 오십견, 적극 치료로 후유증 예방을

정웅교의 어깨건강

[리빙 앤 조이] 오십견, 적극 치료로 후유증 예방을 정웅교의 어깨건강 정웅교 고려대 안암병원 정형외과 교수 어깨에 생기는 병 가운데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것으로 ‘오십견’을 들 수 있다. 말 그대로 보면 ‘오십 살의 어깨’라는 뜻이다. 오십견이라는 말은 어깨가 굳어지는 증상이 오십 살을 전후해서 많이 생기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어깨가 얼음과 같이 얼어붙었다는 뜻의 동결견(凍結肩), 어깨가 딱딱해졌다는 뜻의 강직견, 유착성 관절낭염 등 여러 가지 말로 불리고 있다. 이렇듯 오십견은 질병의 원인이 아니며 어깨가 굳은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어깨를 굳게 한 근본적인 이유를 찾아 보아야 한다. 어깨가 굳는 원인으로는 가벼운 외상, 필자가 이전에 소개했던 회전근개 파열, 석회화 건염 등을 들 수 있다. 아주 드물지만 어깨에 암 등이 생기거나 특별한 원인 없이 증상이 오기도 한다. 특별한 원인이 없이 생긴 오십견은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좋아진다. 하지만 적극적인 치료가 없으면 어느 정도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필자는 병원을 찾은 환자들에게 “이 병은 나을 수 있고, 의사와 환자가 함께 치료해야 한다”는 말을 들려주곤 한다. 모든 질병이 그러하듯이 의사 혼자 치료하는 것은 아니며 환자가 병에 대해 이해하고 치료에 동참해야 회복도 빨라진다. 오십견의 치료방법은 물리치료ㆍ약물치료ㆍ주사치료 등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굳어진 어깨를 서서히 풀어주는 관절운동이다. 병원을 찾은 환자들 가운데는 주위에서 ‘굳은 어깨는 꺾어서 풀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오신 분들이 많은데 통증이 심한 급성기에 무리한 관절운동을 하면 오히려 통증이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어깨라는 관절은 신기하게도 몸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하면 바로 신호를 보내 치료 도중에 다시 통증이 심해지거나 잘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필자가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오십견은 나을 수 있는 병이고 나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치료를 꾸준히 받아야 한다. • 주말농장, 이 봄에 뭘 심으면 가을이 맛있을까? • 조그만 땅 사서 주말농장 해볼까? • 주말농장 관련 서적 • 오십견, 적극 치료로 후유증 예방을 • 스트레스는 풀고 운동화 끈은 조여라 • 여성영화, 성별과 세대의 장벽을 허물다 • 잿빛 서울 봄꽃 단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