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북도 쇼핑몰 '사이소' 농가 소득 증대 효자 역할

인터넷 직거래 장터로 운영<br>지역 농산물 판로 확대 한몫<br>CJ GLS와 협약 택배비 절감<br>매출 해마다 꾸준한 증가세



경북도가 운영하는 인터넷 쇼핑몰 '사이소'(www.cyso.co.kr)가 지역 농ㆍ수ㆍ특산물의 판로 확대와 농가소득 증대에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사이소는 경북도가 지난 2007년 만든 인터넷 쇼핑몰로 생산자가 직접 농특산물을 올리고 소비자가 바로 구매할 수 있는 인터넷 직거래 장터로 운영되고 있다. ▦사이소 매출 해마다 쑥쑥=사이소 매출은 설립 초기인 2007년과 2008년 각각 1억9,000만원과 3억9,000만원에 불과했다. 그러나 2009년 13억1,000만원으로 급증했고 지난해에도 16억4,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5% 상승하는 등 해마다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기간 사이소 고객 회원수는 2,487명(2007년)에서 4만3,042명(2010년)으로, 입점농가는 796곳에서 1,097곳으로 각각 늘었다. 사이소의 매출 증가는 곧바로 농가소득 증대로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009년 지역별 농가소득(농업소득+농외소득+이전소득)을 보면 경북도의 농가소득은 3,129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12.2%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농가소득이 전년 대비 1%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최고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다. ▦택배비 절감 등이 성장 견인차=경북도는 지난해 10월 CJ GLS와 사이소의 택배 편의성 향상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건당 택배비가 종전 2,500~4,000원에서 2,000~3,500원으로 평균 20%가량 절감되면서 농특산물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이번 MOU체결은 택배비 절감 외에도 배송표 자동발행, 상품 변질·파손시 보상체계 확립 등으로 생산자 편의성 및 택배서비스가 향상되면서 농민과 소비자의 만족도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입점 농가들의 다양한 사연이 담긴 글과 UCC도 사이소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사이소 홈페이지에는 현재 '불굴의 의지로 인생역경을 극복한 하나로 파프리카 정세화씨', '안동의 명물 간고등어와 간잽이 이동삼씨', '예천 쌀아지매 정옥례씨' 등 10편의 스토리텔링이 소개돼 농어가의 진솔한 이야기를 소비자에게 들려주고 있다. 도는 이 외에도 사이소 홍보 및 고객 신뢰도 확보를 위해 전면적인 리콜제 도입, 시·군 쇼핑몰과 연계를 통한 상품 다양화, 대도시 소비자 초청 팸투어, 입점농가 교육 및 관리강화 등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쌀 특판 행사도=사이소는 연말연시를 맞아 쌀 특별판매를 실시하고 있다. 이달 말까지 실시되는 이번 특판행사에서는 시중가 보다 평균 15%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매주 4가지 이상의 햅쌀 등 경북의 우수 쌀 제품이 판매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쌀 제품 할인판매와 함께 덤주기, 대량구매시 추가 할인, 불우이웃 기부용 할인판매 등의 이벤트도 진행된다. 박순보 경북도 농수산국장은 "전자상거래 확대 등 유통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구축한 '사이소'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사이소에 대한 홍보강화와 신뢰도 향상을 지속 추진, 유통비용 절감과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