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경제성장 속도조절 나선다

과속성장 부작용 막고 美 통상압박 피하기 '이중포석'<br>"올 성장률 7.5%선까지 크게 떨어뜨릴것"…美 정상회담때 위안貨 절상 공식 요구할듯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해(9.9%)보다 크게 낮은 7.5%까지 떨어뜨릴 계획이다. 이는 1990년대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로 ‘과속성장’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고, 오는 20일로 예정된 미ㆍ중 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통상압박을 피하기 위한 양수겸장의 포석으로 풀이된다. 미국측이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서 위안화 절상을 공식 요구하겠다고 밝히며 단단히 벼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13일 “중국의 연간 경제성장률이 지난 1ㆍ4분기에 8.5%선으로 낮아졌고, 오는 4ㆍ4분기에는 7.5%까지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중국 통계당국은 이 같은 결과를 미ㆍ중 정상회담 직전인 20일 공식발표 할 예정이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NDRC는 기관지 ‘중국증권저널’을 통해 “도시부문 고정투자 증가율이 완화하면서 연간 경제성장률이 1ㆍ4분기 8.5%에서 2ㆍ4분기엔 8.0%로, 3ㆍ4분기엔 7.8%로 하향조정 돼 올 연말에는 성장률이 7.5%로 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최근 5년간 평균 9.5%의 고성장을 이어갔으며 2003년과 2004년에는 각각 10%와 10.1%의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중국이 이처럼 경제의 속도조절에 매달리는 이유는 과잉생산과 디플레이션 등 ‘과속 후유증’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NDRC 산하 미시경제연구원의 장하냐 연구원은 “만약 독점으로 인한 원자재가격 상승과 기업간 경쟁에 따른 상품가격 하락이라는 모순된 관계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2년내 디플레이션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중국이 ‘속도조절’ 계획을 미ㆍ중 정상회담 날짜에 맞춰 공식발표하는 것은 미국측의 통상압박을 누그러뜨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날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이 위안화의 태환화 추진방침을 발표하고 NDRC 외환보유고 해소 방안 등을 밝히는 등 경제문제를 둘러싼 미국측의 불편한 심기를 달래는데 힘쓰는 모습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반면 미국은 이번 미ㆍ중 정상회담을 고질적인 무역역조 구조를 바로잡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 ‘칼’을 갈고 있다. 특히 20일 부시 대통령과 후 주석간 정상회담에서 위안화 평가절상 문제에 대한 확실한 양보를 받아내는데 공격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부시 대통령은 최근 우이 부총리와의 회담에서 “후진타오 주석이 다음주 무역불균형문제에 대한 중국측의 해결책을 미국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촉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부시 대통령은 후 주석과의 회담에서 위안화 문제를 공식 거론하겠다고 거듭 밝혀왔다. 한편 중국측은 지난 11일 ‘미ㆍ중 고위 통상회담’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지적재산권 보호조치 강화를 약속하는 등 미국측에 상당한 ‘성의’을 보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