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KOTRA “중국 자본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세계 투자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자본을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트라(KOTRA)의 외국인투자유치 전담조직인 인베스트 코리아는 26일 '중국의 해외투자동향 및 투자유치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중국 자본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버리고 중국의 투자를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 2004년 55억 달러였던 중국의 해외 투자는 2008년 559억1,000만 달러로 4년 새 무려 10배 이상 증가했다"며 "특히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지난해 말 기준 2조4,000억 달러로 세계 외환보유고의 30.7%를 차지하며 4년 연속 1위를 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이 해외 투자에 나서는 가장 큰 목적은 자원확보로 이는 국영 석유기업을 비롯한 국영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며 "2008년 기준 전체 해외투자에서 국영기업이 차지한 비중이 64%에 달한 것이 이를 말해준다"고 덧붙였다. 이어 "최근에는 선진기술 습득과 브랜드 강화, 사업다각화를 위한 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 포춘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에 중국 기업이 46개나 포함될 정도로 중국 기업의 성장세가 빠른 배경에는 해외투자를 통한 선진기술 습득이 상당한 역할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보고서는 "중국의 대 한국 투자는 미미한 수준"이라며 "2008년 말까지 누계기준 총 1,839억 달러에 달하는 중국의 해외투자 중 한국으로의 투자는 0.47%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한국 투자가 부진한 이유는 우리 국민의 중국 자본에 대한 거부감, 중국 기업의 낮은 선호도 등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중국 투자 활용의 긍정적 측면을 새롭게 봐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 자본 유치를 기회로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거나 중국과 대만의 ECFA(경제협력기본협정) 체결을 염두에 둔 중국 및 대만과의 투자협력 강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안홍철 인베스트 코리아단장은 “중국이 자본과 시장, 한국이 기술을 제공하는 형태의 분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생산기지는 중국으로 하되 R&D기지는 한국에 두는 방안으로의 상호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