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종소세 내는 부자 월급쟁이 70만명

3년새 30만명 가까이 늘어… 소득도 18조서 30조로 급증

월급 외에 다른 수입이 있어 종합소득세를 내는 이른바 '부자 월급쟁이'가 7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국세청에 따르면 종합소득세를 내는 근로소득자는 지난 2006년 42만6,319명에서 2009년 70만2,647명으로 3년 새 30만명 가까이 늘었다. 이들의 소득 또한 같은 기간 18조원에서 30조원으로 크게 늘었다. 종합소득세는 이자ㆍ배당ㆍ부동산임대ㆍ사업ㆍ근로소득 등 여러 소득을 합쳐 누진세율을 적용해 과세하는 세금을 뜻한다. 근로자가 종합소득세를 낸다는 것은 월급 외에 사업소득을 벌거나 예금 이자, 주식 배당금, 부동산임대료 등 다른 소득원이 있는 일종의 투잡을 가졌다는 의미다. 2009년 전체 근로자의 평균 급여는 2,585만원이었는데 종합소득세를 낸 월급쟁이의 평균 급여는 4,315만원에 달했다. 사업소득이나 이자 등의 부수입을 합치면 이들의 평균 소득은 보통 월급쟁이의 2배가량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이 전체 근로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종합소득세를 내는 월급쟁이의 급여 총액은 2006년 전체 근로소득자 급여 총액의 5.8%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3년 후인 2009년에는 그 비중이 8.2%에 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