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상청·국토부·공군, 레이더 정보 공동 활용

기상청ㆍ국토해양부ㆍ공군이 따로 운영해온 전국의 레이더가 범정부 차원에서 공동 활용된다. 행정안전부와 국방부ㆍ국토부ㆍ기상청은 30일 기상청 국가기상센터에서 '기상·강우 레이더 공동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기상청의 기상예보, 국토부의 홍수예보, 국방부의 군 작전 지원 등에 별도로 사용된 레이더의 운영체계가 표준화되고 관측자료도 실시간으로 공동 활용된다. 이로써 태백산맥 일부를 제외한 전국에서 레이더 관측 사각지대가 사라져 정부 차원에서 지금보다 더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 호우와 홍수 등 위험 기상에 더 신속히 대처하고 예보 정확도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관들이 대당 30억원에 달하는 고가의 외국산 장비 예비 부품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예산을 절감하고 관측기술을 공동 개발해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기상청은 관계기관 정책협의회를 구성해 정부기관의 의견을 반영한 레이더 표준운영절차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내년에 약 10억원의 예산을 반영해 서로 다른 기종의 레이더끼리 정보를 표준화해 함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착수하기로 했다. 현재 전국에는 기상청 12대, 국토부 2대, 공군 9대, 미국 공군 2대, 항공우주연구원 1대 등 26대의 레이더가 설치돼 있으며 국토부가 오는 2011∼2012년 4대강 유역에 5대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공동 활용 대상은 미국 공군 2대, 항공우주연구원 1대, 기상청 연구용 1대를 제외한 27대로 2∼3년 안에 공동 활용 체제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필언 행정안전부 조직실장은 "이번 레이더 공동 활용이 부처 간 '행정융합'의 좋은 예"라며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국민의 편익을 증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