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최수현 금감원장 “금융권 수수료 현실화 필요하다”

금융수수료 인상 암시…적자 점포 정리 추진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사의 경영 악화를 막기 위해 금융 수수료를 현실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부 금융 수수료의 경우 인상을 용인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돼 고객의 반발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최수현 금감원장은 16일 기자들과 만나 “원가 분석을 통해 (금융회사의 입장에서) 적정한 수수료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보험사 등을 중심으로 규제도 풀어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금융 수수료 인상에 대한 국민 반발에 대해 “가장 노심초사하는 부분으로 현실적인 여건이 어려울 수 있다”면서 “전체적인 맥락에서 보고 있으며 당장 결론을 낼 수는 없지만 고민을 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부당한 수수료 부과는 시정되도록 지속적으로 지도하겠지만, 정당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원가분석을 통해 합당한 수준의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금리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 안정적인 이자이익을 확보하도록 유도하고, 비이자이익 비중을 늘려 종합자산관리 컨설팅 등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개별 은행의 비용구조 적정성에 대한 점검 및 지도를 강화해 저수익·적자 점포를 정리하고 비대면채널 확대 등 경영 합리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최 원장은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금융권의 당기 순이익 반토막이 확실시되고 있다”면서 “국내 총 금융자산이 3,300조원인데 1,800조원이 은행이며 적정 순익이 10조원은 넘어야하는데 지난해 8조7,000억원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는 25일 KB금융지주 등 7개 금융지주사 회장과 만나 수익 창출을 위한 해법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증권사의 수익 확대를 위해 온라인상에서 은행 등 기존 판매망보다 저렴한 수수료로 펀드를 팔 수 있도록 펀드 슈퍼마켓 설립을 지원하고, 보험업계의 민자유치사업(SOC) 및 에너지 사업, 유동화증권, 구조화채권 투자를 확대하도록 할 계획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