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GM, 파산보호 신청 검토

미국 정부의 구제금융으로 연명하는 제너럴모터스(GM)가 지난해 12월에 이어 또다시 파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GM은 오는 17일 정부에 제출할 자구계획서에 추가 공적자금 지원과 파산보호(Chapter11) 신청 등 두 가지 방안을 담아 정부가 이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GM의 이 같은 방침은 전미자동차노조(UAW)와의 임금ㆍ복지조건 협상은 물론 채권단과의 출자전환 협상이 사실상 실패한 데 따른 것으로 일각에서 제기되는 ‘선 파산보호-후 자금지원’ 방식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양측은 이날까지도 합의점을 찾는 데 실패했다. 미 의회와 전문가들은 파산보호를 신청하는 것이 비용절감과 생존유지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앞서 재무부는 지난해 12월 우여곡절 끝에 GM에 구제금융(TARP) 자금 134억달러를 브리지론으로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이중 마지막분 40억달러는 자구계획서 제출을 조건으로 지급하기로 했다. WSJ는 “GM 이사회는 지난해 11월부터 파산보호 신청을 심각히 검토해왔다”며 “자구계획안은 추가 공적자금 지원 요구에 초점을 맞추겠지만 만약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파산보호를 신청한 뒤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할 것”이라고 전했다. 파산보호를 통한 회생계획에는 경쟁력 있는 일부 브랜드와 국제사업망 등 GM의 우량자산을 통합해 새 회사를 설립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