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문 원장의 한방토크] 건강한 여름나기

저녁시간엔 가벼운 운동, 메밀 베개는 숙면에 도움

여름철은 건강관리에 소홀해지기 쉽다. 그러나 더위를 먹거나 배탈이 생기는 등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의학에서는 '더위를 먹는다'는 것을 '주하병(注夏病)'과 '서병(暑病)'으로 구분한다. 주하병은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기 전에 잘 나타나는 병으로 속이 메슥거리고 입이 쓰면서 혀가 마른다. 머리도 아프고 다리도 약해지면서 정신이 피로하고 자주 졸린다. 먹는 것도 줄고 몸이 무력해진다. 매년 여름 때마다 지나치게 몸이 힘들다면 미리 한약을 복용해 예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서병은 한여름 푹푹 찌는 무더위 때 몸이 상하는 것으로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무더위에 야외활동이나 일을 하다가 머리가 아프고 몸에 열이 나며 입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고 식은땀이 흐르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양서(陽暑)'라고 부른다. 이때는 현기증이 나면서 쓰러지거나 심하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빨리 서늘한 곳으로 옮긴 후 휴식을 취하면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반면 더위를 피한다고 시원하고 서늘한 곳만 찾게 되면 머리가 아프고 오한과 함께 몸이 오그라들게 된다. 또 사지관절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몸에 열은 나는데 땀이 안 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음서(陰暑)'라고 한다. 냉방병을 에어컨이 보급된 후 생겨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예전부터 한의학에서는 음서라는 병명으로 설명하고 있다.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감기약을 먹어보지만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 음서는 기운이 약해지고 몸이 차가워졌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원기를 돋우고 따뜻하게 데워줘야 낫는다. 여름철에 주의할 것이 더위만은 아니다. 여름철에 찬 것을 많이 먹거나 찬 음료를 많이 마셔 위장이 상하면 구토∙배탈∙설사∙복통 등 위장병이 잘 생긴다. 덥더라도 더운 음식으로 속을 따뜻하게 해줘야 별 탈이 없다. 삼계탕을 비롯한 여름철 보양식이 한결같이 뱃속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음식인 것도 같은 이치다. 더위를 이겨내고 여름을 건강하게 보려면 땀을 적당히 흘려야 한다. 땀은 몸의 열을 식혀주기 때문에 더울 때는 땀을 흘려야 건강하다. 다만 너무 많이 흘리면 기운이 빠질 수 있는 만큼 한낮은 피하고 선선한 저녁시간에 가벼운 운동으로 땀을 빼는 게 바람직하다. 여름철에는 잘 자는 것도 중요하다. 더위로 잠자기 힘들 때는 대나무로 만든 죽부인으로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메밀 베개로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 여름철은 온몸의 신진대사가 빨라지고 땀이 나면서 기운을 많이 소모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시로 기운을 보태주는 게 현명하다. 삼계탕 등 보양식을 먹거나 인삼∙황기 등 기운을 보해주는 한약재를 조리해 먹는 것도 방법이다. 수박도 성질이 차고 수분과 무기질이 풍부해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에 안성맞춤이다. 토마토와 복숭아는 영양분과 수분을 공급해주면서 성질은 차지 않아 속이 차고 배탈이 잦은 여름철에 좋다. 시원한 인삼차나 오미자차도 더위에 지친 몸을 빠르게 회복시켜 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