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헤지펀드도 안전자산 늘린다

향후 자산가치 하락대비 국채·채권투자 강화<br>경제전문가등 '美 디플레 위험 경고' 줄이어


미국 경제의 디플레이션 위험 경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고수익 고위험 투자'의 대명사인 헤지펀드도 안전자산인 국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헤지펀드들은 향후 자산가치 하락과 이에 따른 환매수요를 예상, 현금 등가물인 미 국채 및 정부기관 채권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11일 마켓워치는 미 국채시장에서 헤지펀드들의 참여 비율이 지난해 3%에서 올 들어 20%로 크게 증가했다고 컨설팅회사인 그린위치 어소시에이츠의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헤지펀드들은 지난 1년간 국채 투자를 60%나 늘렸다.


헤지펀드들의 투자전략 변화는 최근 경기침체 우려가 증폭되면서 부동산과 주식 등 위험자산 가치의 급락에 따른 투자자들의 자금인출 가능성에 사전 대비하는 것이다. 헤지펀드들은 이를 위해 국채 등 현금성 자산을 충분히 확보해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의 대규모 환매사태가 또다시 발생하면 이번에는 투자금을 제대로 돌려준다는 계획이다. 헤지펀드 업계는 당시 투자자들의 빗발치는 환매요구를 충족하지 못해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은 바 있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헤지펀드들이 국채 외에도 프레디맥과 패니매 등 정부기관 채권에 대한 투자도 늘리고 있다고 밝혔다. 헤지펀드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가격 변동폭을 더욱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미 경제의 디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경고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 운용업체인 핌코의 스콧 매더 글로벌 포트폴리매니지먼트 대표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자사의 웹사이트에 "디플레이션 위험이 커지면서 미 국채가격은 오르고 부동산과 주식 가격은 떨어질 것"이라며 "초기에는 5년물·10년물 국채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이에 앞서 모하메드 엘-에리언 핌코 최고투자책임자(CIO)도 "미 경제는 더블딥에 들어가고 있으며 디플레이션에 빠질 확률이 25%"라고 주장한 바 있다.

로이터통신도 경제 전문가의 전망을 인용, 미 경제의 디플레이션 위험성을 경고했다. 무디스 이코노미닷컴의 마크 잰디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미 경제가 당장 디플레이션을 겪을 확률이 6분의 1"이라고 말했다. 미 정부기관인 국제무역위원회의 경제국장을 역임한 피터 모리치 메릴랜드대 교수는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50%로 봤다. 크로노스의 로버트 예렉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기침체 지속으로) 소비가 줄어 기업이 재고를 늘리면 소매상들은 가격하락 압박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