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이슈 인사이드] "출퇴근·근무 시간 자유롭게" 직장생활이 스마트해진다

특허기술·기밀문서 등 보안성 해결은 과제로<br>대면근무 중요하게 여기는 인식도 바뀌어야


"지난번 폭우 때 아무 생각 없이 출근했더라면 큰일날 뻔 했습니다. 다행히 스마트워크를 신청해 편하게 업무를 볼 수 있었습니다." KT에 근무하는 조모(47) 부장은 지난 7월26~27일 서울이 집중호우로 물바다가 된 때를 회상하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서울 양천구 목동에 거주하는 조 부장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에 위치한 사무실까지 보통 1시간 30여분이 걸려 출근한다. 조 부장은 당시 일기예보를 보고 재택근무 신청해 업무를 봤다. 만약 조 부장이 폭우 속에서 출근길에 나섰으면 오후 늦게까지 출근하지 못할 뻔했다. 특히 산사태나 도로 침수 등으로 변까지 당할 수도 있었다는 게 조 부장의 설명이다. 삼성전자에 근무하는 윤모(36) 사원은 육아로 인해 스마트워크를 신청한 사례다. 분당의 이매동에 거주하며 삼성전자 나노시티 화성캠퍼스로 출퇴근하는 윤 사원은 최대 2시간의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스마트워크를 활용하고 있다. 일주일에 3~4일 센터를 이용한다는 윤 사원은 25개월 된 딸아이를 키우고 있다. 그는 "1시간의 출퇴근 시간을 절약하는 것 자체가 육아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일산에 거주하며 분당까지 출퇴근하는 KT 김모(40) 차장은 스마트워크로 장거리 출퇴근에 대한 부담을 덜고 있다. 김 차장은 지난해 1월 경기도 고양시 일산 동구에 생긴 KT 스마트워크 센터를 활용하면서 날씨나 교통상황에 따른 출근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고 말한다. 스마트워크(Smart Work)는 영상회의 등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이용해 시간ㆍ장소의 제약 없이 업무를 수행하는 근무형태다. 별도로 마련돼 있는 스마트워크 센터로 출근해 업무를 보는 것과 흔히 알려져 있는 재택근무가 바로 스마트워크의 유형에 해당된다. 주 40시간을 근무하되 출퇴근 시간과 근무시간ㆍ근무일을 근로자가 자유롭게 조정하는 탄력근무제도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15일 행정안전부와 업계에 따르면 공직은 물론 민간기업에서 스마트워크를 활용한 근무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규모가 큰 것은 아니지만 업무 효율성을 감안하면 스마트워크가 점차 확산될 것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조용탁 한국정보화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스마트워크는 생산성 향상과 함께 저출산ㆍ고령화를 대비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장 앞장서고 있는 것은 정부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스마트워크 센터를 서울 도봉구청(24석)과 경기도 성남의 KT 분당지사(25석)에 마련한 뒤 스마트워크 확산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특히 전자정부법 제32조에 '원격근무제(재택근무형+스마트워크형)'의 근거를 마련할 만큼 정부의 스마트 워크 확산 방침은 확고하다. 민간기업은 KT가 선두주자다. KT는 지난 4월부터 직원 2만명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광화문ㆍ관악ㆍ동작ㆍ서초ㆍ분당 등 7곳에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KT는 올해 내로 센터를 9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달 초에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와 스마트워크 센터 공동 구축ㆍ운영을 위한 업무협약도 맺었다. 삼성전자는 5월 서울과 분당에 스마트 센터를 열고 본격적인 스마트워크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회사가 지정한 원격근무센터 근무와 재택근무를 자유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성과중심으로 근무방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고 우수한 여성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시간ㆍ장소의 구분 없이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삼성전자의 경우 초등학교 이하 자녀를 둔 임직원을 대상으로 지원자를 모집해 현재 50여명이 참여하고 있어 아직은 시행 초기 단계다. 포스코에서도 스마트워크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SK텔레콤 등은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든 업무 처리가 가능한 방식의 근무 형태를 도입ㆍ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는 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특히 보안성이 핵심 문제로 남아 있다. 특허 기술과 같은 산업 기밀이나 정부의 기밀 문서가 취약한 보안성 때문에 쉽게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직까지 대면근무를 중요시 하는 사회적 인식도 바꿔야 하며 법령과 제도의 정비도 넘어야 할 산이다. 정부가 지난해 323만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원격근무제를 도입한 사업장 비율은 0.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정부와 기업들은 스마트워크가 미래 출근혁명의 시작점이라는 인식에는 모두 동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