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의 힘 벤처캐피탈/인터뷰] 곽성신 벤처캐피탈협회장

"지속성장 벤처캐피탈 산업으로 평가 육성을"곽성신 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은 2일 "벤처캐피털은 벤처산업 육성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자부한다"며 "최근 벤처산업의 위축으로 벤처캐피털 업계도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벤처와 벤처캐피털 부문의 산업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런 구조조정이 이뤄져 업계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벤처캐피털은 금융과 산업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 각종 규제를 받는 등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며 "벤처캐피털을 산업으로 평가, 키워갈 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벤처산업과 더불어 벤처캐피털도 근래 어려움에 처해 있는데... ▲그렇다. 거품이 꺼지면서 침체상태에 빠진 벤처산업과 궤를 같이하는 벤처캐피털도 역시 상당히 위축된 상태다. 이는 99년 이후 급성장했던 벤처산업이 거품붕괴 속에 어떻게 보면 조정기에 들어가 산업적 연관관계에 있는 벤처캐피털도 어려움에 처한 것으로 일종의 경기사이클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다. 또 산업규모가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벤처캐피털사들이 이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한 역량부족으로 침체에 빠진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벤처캐피털은 일반 산업과 금융 부문과는 다른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벤처캐피털은 벤처기업에 투자해 일정시간이 지난 뒤 회수하는 산업구조를 갖고 있다. 국내에서는 80년대초부터 벤처캐피털이 활동을 시작, 뚜렷한 성과를 보이지 못하다가 80년대말과 90년대 중반, 그리고 벤처산업이 본격 태동한 99년과 2000년에 호경기를 맛봤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장비나 통신망, 소프트웨어 등의 부문에서 공급과잉 현상이 빚어지면서 벤처산업이 슬럼프에 빠지자 벤처캐피털도 위기에 처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처기업과 벤처캐피털은 한국경제의 성장 속에 산업규모가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벤처캐피털이 침체상황에 빠진데는 업계 스스로의 요인도 있다고 본다.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이 올들어 사법처리되는 등 사회적 파장을 야기하기도 했다. 이는 업계 스스로 도덕적, 윤리적인 경영에 충실하지 못한데 요인이 있다고 생각한다. 99년 이후 벤처캐피털 시장이 커지면서 이 분야에 별다른 관계를 맺지않던 일반 금융이나 그 외의 분야 등에서 활동하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면서 정석적인 투자시스템이 많이 붕괴됐다. 즉 빠른 시간 내에 고수익을 겨냥, 비정상적인 형태의 투자 및 관리 행태들이 나타나면서 문제가 빚어진 것이다. 또 심사역들에 대한 교육과 인센티브 시스템도 제대로 갖추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협회를 중심으로 윤리강령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이런 요소들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거나 준비중이어서 과거와 같은 문제들이 반복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 벤처캐피털산업이 지속적 성장을 위해 정책적인 지원문제 등 필요한 사안은 무엇인가. ▲그 동안 정부에서도 업계 현안을 가급적 해소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먼저 락업 문제 해결은 업계 최대의 현안이다. 무엇보다 프라이빗 에쿼티(private equity, 일명 장외시장) 시장은 정부가 인위적으로 조정하려 하지말고 시장기능에 맡겨야 할 것이다. CBO 발행을 통해 옥석구분을 제대로 가리지 않고 벤처기업에 정책자금을 직접 지원하는 것이나 코스닥 등록전 대주주의 지분변동 제한 등의 각종 규제조치 등은 시장기능을 훼손할 수 있다고 본다. 또 해외자금 유치와 관련된 규제 해소, 국민연금 등 기관들의 적극적인 투자조합 참여 등의 환경이 조성돼야 경쟁력 있는 벤처산업 육성은 물론 벤처캐피털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업계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최근의 어려움을 넘어야 할 산으로 생각하고 각 기업들이 인력의 자질향상과 경영노하우 전문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고 금융산업의 한 축으로서 나름대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