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기업은행 퇴직연금 시장서 약진

중기대출 인프라 활용 급성장… 올들어 13%↑… 빅4와 격차 줄여


기업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서 두드러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 고객의 퇴직연금이 늘면서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강점인 중소기업 대출을 퇴직연금 사업의 인프라로 적극 활용하면서 4대 은행과 격차를 줄여나가는 등 선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의 선두 다툼이 치열한 퇴직연금 시장에서 기업은행이 두각을 나타냈다. 기업은행의 퇴직연금 잔액은 지난해 말 4조3,759억원에서 올 8월 4조9,452억원으로 5,693억원이 늘어 13%나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신한 9.7%, 국민 8.5%, 우리 8.3%, 하나 7.8% 등 타 은행보다 3~5%포인트 높다.


올해 증가 규모로 봐도 신한(6,108억원)에 이은 2위를 기록해 국민(5,285억원), 우리(4,397억원) 등을 앞섰다. 지난해에도 기업은행은 퇴직연금 규모가 47.5% 성장해 국민(27.1%), 신한(25.8%), 우리(21.6%) 등을 압도했다.

퇴직연금 규모로는 신한(6조8,742억원), 국민(6조6,821억원), 우리(5조7,097억원) 등에 이어 여전히 4위이지만 상위 은행과의 격차가 줄고 있다. 실제 3위 우리은행과의 격차는 지난 2011년 말 1조3,658억원에서 올 8월 말에는 7,645억원으로 6,000억원가량 좁혀졌고 신한ㆍ국민과의 격차도 1,000억~2,000억원 줄어들었다.


기업은행의 선전은 중소기업 고객이 많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관련기사



근로자 수 300인 이상 대기업의 퇴직연금 도입률(올 6월 말 기준)은 82%인 반면 중소기업(300인 미만)은 14%에 불과해 향후 성장 전망이 긍정적이다. 중소기업은 매월 적립금을 자동 이체하는 방식을 띠어 연말에 적립금이 몰리는 현상도 타 은행보다 덜하다.

금융계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퇴직연금 가입률이 낮은 반면 가입 속도도 더딘 게 특징"이라며 "기업은행이 중기 대출을 퇴직연금 사업의 지렛대로 잘 활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퇴직연금은 확정급여(DB)ㆍ확정기여(DC)ㆍ개인형퇴직연금(IRP) 등으로 구분된다.

기업은행은 기업 고객 비중이 커 자산 운용과 무관하게 월별로 똑같은 금액을 지급하는 DB형 비중이 60% 남짓으로 높은 편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차츰 DC형(적립금의 운용 성과에 따라 근로자의 퇴직급여액이 달라지는 방식) 비중을 늘리고 있다"며 "퇴직연금 적립액으로 5위인 하나은행도 외환은행과 합치면 우리와 큰 차이가 안 나 앞으로 은행 간 자금 유치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