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도시 다시 급물살

李부총리 공식 언급… 재계 여론몰이 분주

삼성전자의 아산 탕정 단지는 재계가 요구해온 기업도시의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삼성측이 당초 추진한 기업도시 방안이 특혜시비 등에 걸려 사실상 산업단지 쪽으로 바뀐 것이다. 하지만 꺼질 것으로 보였던 재계의 기업도시 프로젝트가 최근 들어 다시 급물살을 타는 분위기다.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건설경기 연착륙 방안으로 기업도시를 다시 언급했다.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이 부총리가 언급한 신도시 건설은 판교신도시나 도심의 베드타운적 성격의 신도시가 아니라 생산시설과 주거단지를 한꺼번에 건설하는 ‘자족형 기업도시’를 의미한다”고 말했다. 기업에 단순히 공장만 짓게 해서는 기업도시에 대한 투자 메리트가 없다는 현실적 판단 때문이다. 결국 기업이 공장을 짓고 주변의 땅을 매입해 주거단지를 건설함으로써 생산과 주거, 유통, 문화, 교육생활이 가능한 자족형 도시를 건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재경부는 자족형 기업도시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히 풀고 각종 세제ㆍ금융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할 방침이다. 재계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전경련은 15일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정책 포럼’을 연다. 이 부총리 등 정부 관계자와 지방자치단체장, 정당 정책위의장 등 정계 인사, 이상완 삼성전자 LCD(액정표시장치) 총괄사장, 김쌍수 LG전자 부회장, 정순원 현대자동차 사장 등이 참석한다. 전경련은 기업도시 추진을 위해 기업에 토지수용권과 토지처분권 허용과 수도권 관련규제 완화를 정부에 공식 요구할 계획이다. 또 재계가 구상하는 기업도시의 유형을 규모별ㆍ용도별로 제시할 예정이다. 정부와 재계에서 이처럼 기업도시 논의가 활발해짐에 따라 삼성 아산단지도 초기의 ‘산업단지’에서 명실상부한 기업도시로 전환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공사가 마무리될 때까지는 아직 상당한 기간이 남아 있고 현지에서도 ‘자족형 기업도시’에 대한 긍정적 여론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