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내 항공사 정시운항률 세계 Top클래스

대형ㆍ저가항공사 모두 지연, 결항률 낮아

국내 항공사가 지연이나 결항 없이 정시에 운항하는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토해양부는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과 에어버스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세계 항공사의 운항 실적을 종합 분석한 결과, 국적항공사의 항공기 정비로 인한 지연·결항률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평가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정시 운항률이 그만큼 높다는 것으로, 국내 항공사의 항공기가 다른 나라 항공사와 비교해 제 시각에 뜨고 내린다는 뜻이다. 보잉과 에어버스는 각 사가 생산한 항공기에 대해 기종별로 고장 정비 등에 따른 지연율(출발시각 기준 15분 이상) 및 결항률을 조사해 정기적으로 발표한다. 대한항공은 운용 중인 5개 기종 중 세계 1위가 2개(B777·A300-600), 2위가 1개(A330), 3위가 2개(B747·B737-800/900)였다. 아시아나항공의 6개 기종은 B777 및 B767이 2위, B737-400은 3위, B737은 4위, B747은 6위, A330은 8위로 모두 `톱10'에 들었다. 진에어, 에어부산도 각각 B737-800, B737-400/500 기종에서 나란히 1위를 차지했고 제주항공은 10위권에 들지 못했지만 세계 평균을 상회했다. 이스타항공과 티웨이항공은 국제선 취항 기간이 짧아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항공사의 정비·관리 실태와 조종사·정비사·운항관리사 등 항공 종사자의 안전 의식이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점을 뒷받침한다"며 “저비용 항공사도 높은 정시 운항 서비스와 안전 수준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