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분쟁 극복땐 '박용성 체제' 공고화

투서 사실일경우…최대위기 올수도<BR>박용성 회장 퇴진…4세 경영 급물살

박용성 두산그룹 회장이 22일 본사 12층 대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형제간의 경영권 분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분쟁 극복땐 '박용성 체제' 공고화 투서 사실일경우…최대위기 올수도 김홍길 기자 what@sed.co.kr 박용성 두산그룹 회장이 22일 본사 12층 대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형제간의 경영권 분쟁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이호재 기자 형제간 경영권 분쟁에 휩싸인 두산그룹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상황이 워낙 유동적인 만큼 지금 상황에서는 어떤 결론도 단정하기 어렵지만 재계 주변에서는 크게 서너 가지 시나리오가 나돌고 있다. 시나리오별로 두산그룹의 미래를 짚어봤다. ◇'YS 회장' 체제 강화되나=현 단계에서 가장 무난한 시나리오는 두산이 경영권 분쟁의 아픔을 딛고 박용성(YS) 회장 체제를 공고히 하는 것이다. 그룹의 맏형인 박용곤 명예회장은 이미 박용오 전 회장에게 '반역자'라는 극한 표현을 쓰며 "그룹과 가족에서 제명"했다. 그룹 사장단에는 이미 박 전 회장에게 어떤 식으로든 협조할 경우 엄벌하겠다는 지시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두산과 두산산업개발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박 전 회장을 대표이사 회장에서 해임시켜 완전히 무장해제했다. 경영권 분쟁 명분을 말끔히 없애겠다는 복안이다. 만에 하나 가족회의에서 표대결을 벌이더라도 박 전 회장 측이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두산 가족회의 멤버는 모두 26명인데 박 전 회장 지지세력은 현재로서는 자신과 장남(박경원)ㆍ차남(박중원) 등 3명뿐이다. 결국 이번 경영권 분쟁으로 109년 전통의 형제경영에 오점을 남기기는 했지만 YS 회장 특유의 저돌성으로 경영체제를 강화할 수 있다는 게 두산 측의 대체적인 견해다. ◇투서내용 사실 여부가 최대 변수=하지만 박 전 회장이 검찰에 투서한 그룹의 경영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 그룹에는 메가톤급 위기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그룹 해체 가능성까지 거론될 정도다. 검찰은 YS 회장과 박용만(YM) 부회장이 지금까지 1,70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하고 800억원을 해외로 밀반출했다는 박 전 회장의 진정서 내용을 토대로 이미 내사에 돌입한 상태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투서내용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두산그룹은 과거 현대그룹처럼 해체의 길을 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검찰수사 결과 및 비자금 조성 규모에 따라 파문은 증폭될 전망이다. 이 경우 그룹의 주축이던 박 회장 등은 낙마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나머지 형제들간 그룹 지분 경쟁으로 이어져 결국 '각자 갈 길을 가는' 형태로 정리될 수밖에 없다. ◇YS 퇴진으로 4세경영 본격화도=박 전 회장의 투서내용에 대해 두산그룹은 "전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그룹을 경영해온 박 전 회장의 투서내용이 사실무근이라는 것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며 수사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겠지만 일부에서는 박 전 회장과 박 회장의 동반 퇴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YM 부회장이 차기 주자로 급부상할 전망이지만 박 전 회장이 YM에 대해 평소에도 좋지 않은 감정을 내비쳐왔다는 점에서 YM 부회장도 박 전 회장이 결자해지를 한다는 조건으로 YS 회장과 함께 경영일선에서 물러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신 두산그룹은 4세경영 체제로 완전 재편될 전망이다. ^지난해 두산의 진로와 두산인프라코어(옛 대우종합기계) 인수작업은 4세대 후계구도를 위한 '몸집 불리기'로 분석됐고 때마침 두산그룹은 박용곤 명예회장의 장남인 박정원 두산 상사BG 사장 등 4세를 두산산업개발 부회장으로 고속 승진시키며 경영일선에 배치했다. 이에 따라 박정원 부회장은 장손으로서 두산그룹을 총괄할 가능성이 크고 차남인 박지원 부사장은 두산중공업을, YS 회장의 장남인 박진원 상무는 새로 인수한 두산인프라코어 등을 경영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박 회장은 "웃기는 소리"라며 퇴진설을 일축했다. 박 회장은 "잘못한 게 있어야 책임을 지지, 잘못한 것도 없는데 어떻게 퇴진하냐"고 했다. 입력시간 : 2005/07/22 17:06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