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3차 기아 채권단회의 절름발이식 해결책만/채권단­기아 신뢰깨졌다

◎채권은행단측­“자구없는 자금지원 정상화 불가능”/기아측­“제3자 인수위한 수순 아니냐” 의심기아그룹은 15개 계열사에 대한 채권금융단의 부도유예협약 적용으로 일단 오는 9월 29일까지 부도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기아그룹이 이 기간 회생 기반을 조성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상황이다. 채권단이 4일 열린 세번째 대표자회의에서 「긴급자금 지원없는 협약적용」이라는 절름발이 해결책을 제시, 기아그룹은 「부도」라는 극한 상황은 면했지만 앞으로 경영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금융기관의 협조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이같은 상황까지 몰려온 가장 큰 원인은 채권단과 기아그룹 상호간에 신뢰관계가 이미 깨져버렸기 때문으로 지적된다. 채권단은 기아그룹 경영진이 자구노력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을지 의문시하고 있으며 기아그룹은 채권단이 기아를 3자에게 인수시키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는 상태다. 채권단이 기아그룹 15개 계열사에 대한 부도유예협약을 적용했지만 이는 부실징후기업을 살린다는 협약의 기본취지와 거리가 먼 내용이다. 채권단의 의도는 부도직전에 놓여 있는 기아에서 일단 발을 빼고 멀리서 관망하겠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기아가 긴급자금을 지원받지 않은 상태에서 2개월이라는 기간동안 경영정상화를 이룰 수 없을 것이라는 채권단의 시각이 관심을 끌고 있다. 2개월내 경영정상화가 힘들다는 것을 뻔히 알면서도 긴급 자금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다시 말해 채권단이 최악의 상황을 알면서도 기다리고 있는 셈이라고 해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도유예협약 적용이 끝나는 9월말에 다시 열리는 채권금융단 대표자회의에서 부도유예협약적용 1호인 진로와는 다른 특단의 조치가 내려질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진로의 경우 주식포기각서가 제출되지 않았는데도 대출금 원금상환유예라는 구제조치를 해줬지만 기아에 대해서는 같은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적다는 관측이다. 기아그룹에 대해 삼성, 현대, 대우, LG 등 재벌그룹들이 강한 인수의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채권단이 기아를 몰아붙일 수 있도록 만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채권단은 일단 부도유예협약이 적용되는 2개월동안 채권회수를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관계자들은 기아측의 태도 변화가 없는한 결국 3자인수쪽으로 가닥이 잡혀나갈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부도유예협약 적용기간이 끝나는 대로 기아를 부도처리한 후 3자인수를 추진하는 강수가 등장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최근 정부 고위관계자들이 잇따라 김선홍기아그룹회장 퇴진의 불가피성을 강조한 것도 이와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기아측은 금융기관이 지원을 거부할 경우 현대와 대우자동차 등 자동차업계의 적극적인 지원만이 유일한 생존수단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기관이 외면하는 가운데 이뤄지는 자동차업계의 지원이 어느 정도 기아의 생명을 연장할 수 있을지 미지수인 상황이다. 결국 기아는 회생의 길을 모색할 수 있는 두달의 여유를 가졌다기보다는 부도유예협약의 적용이 끝나는 시점에 어떠한 자세를 취할지에 대해 결정해야 하는 시간을 벌었다고 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이기형 기자>

관련기사



이기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