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물 산업 종합서비스 사업 강화해야

물 관련 사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종합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5일 ‘블루골드 물 산업, 유망 사업분야 및 진출전략’보고서를 통해 중국, 중동, 동남아시아를 집중 공략해야 하며 상하수도ㆍ해수담수화ㆍ폐수처리 사업을 아우르는 종합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정확한 시장조사를 통한 차별화된 진출 전략과 다양한 산업적 접목을 통해 물산업 수출을 활성화해야 한다”며 “수익성 확보 차원에서 세계 최고의 IT기술과 전력기술을 접목한 종합서비스 사업 진출이 유리하다”고 전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은 물 사업과 관련 지난해 총 4억8,000만 달러 어치를 수주했다. 특히 지난 3년(2006년~2008년)간 우리나라의 여과 수처리 기기 수출 증가율은 180%로 8개 주요 선진국을 크게 상회했으며, 수출단가도 일본 대비 60% 가량 저렴해 국제 적인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물 산업 부문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실패율이 전기(8%), 통신(4%), 운송(8%)산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인 평균 29%로 조사돼 신중하고 세심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글로벌 물 산업 시장 공략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해외마케팅을 강화해야 한다”며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종합서비스 능력을 확충하고 운영과 관리에 IT, 전력, 소재 등을 접목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진출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