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소기업 63.9% “대체공휴일제 도입 반대”

중소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이 대체공휴일제 도입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18~21일 440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체공휴일제 도입 관련 의견조사 결과 ‘반대’한다고 답변한 기업이 전체의 63.9%를 차지해‘찬성’(35.4%) 보다 1.8배 더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체공휴일제는 공휴일이 다른 공휴일과 겹칠 때 그 다음주의 첫번째 평일 하루를 공휴일로 삼는 제도를 말한다. 업종별로는 제조 기업에서의 반대의견 비율(70.5%)이 비제조업(58.0%)보다 높았고, 규모로는 소기업(64.2%)이 중기업(58.0%)보다 부정적이었다. 반대 이유로는 응답 기업 중 가장 많은 50.4%가‘공휴일이 늘어도 쉴 수 없어 대기업·공공기관 보다 중소기업 근로자가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을 꼽았다. 실제로 대체공휴일제가 도입돼 공휴일이 늘어날 경우에도 ‘평소대로 일한다’는 응답이 52.5%로 ‘근로자를 쉬게 하겠다’(35.9%)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인건비 증가 우려’(36.6%)는 그 뒤를 이었다. 이는 공휴일을 유급휴일로 부여하는 업체가 응답 기업의 59.2%에 달하고, 평소대로 근무하는 곳도 22.9%인 만큼 대체공휴일제 도입으로 늘어난 공휴일에 근무할 경우 기업들의 임금부담도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라고 중앙회측은 풀이했다. 이밖에 ‘휴일이 늘어나도 근로자 소비가 늘지 않아 내수는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13.0%를 차지했다. 한편, 제도 도입에 찬성하는 이유로 ‘근로자들의 휴식권 보장’(44.2%)과 ‘여가 증가로 인한 생산성 향상’(39.1%) 등이 꼽혔다. 1년에 14일인 현행 공휴일수의 적정여부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3.7%는 ‘적정’, 23.1%는 ‘감축’해야 한다고 답해 ‘증가’(23.3%) 의견을 압도했다. 중앙회 관계자는 “대체공휴일제가 도입돼도 중소기업은 평소대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아 내수활성화 효과는 적은 반면 기업 인건비 증가와 근로자의 박탈감 등으로 중소기업 인력난만 부추기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제도 도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