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대통령과 총수 경제살리기에 뜻 모으길

노무현 대통령이 오늘 삼성ㆍ현대차ㆍLGㆍSK 등 4대그룹 총수와 만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경제계에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대ㆍ중소기업 상생회의에 앞서 이뤄지는 4대그룹 총수와의 이번 회동은 재계 전반과 업계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란 설명이다. 설명처럼 대통령이 재계에 일방적으로 주문만 할 것이 아니라 충분히 듣는 자리가 되기 바란다. 이번 만남에 큰 기대를 갖는 것은 노 대통령이 재계와 산업계 전반의 현장 분위기를 대기업 총수로부터 직접 전해 듣기 위해 청와대측이 특별히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 동안 청와대와 재계의 관계는 소원한 편이었다. 이런 만남이 19개월 만에 이뤄진 사실이 입증한다. 재계의 분식회계 및 비자금 사건 등과 정부의 각종 규제 강화로 상호 불신감만 키워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내년엔 국가경제에 많은 불확실성이 도사리고 있다. 대선ㆍ환율ㆍ고유가ㆍ북한 핵ㆍ부동산 문제와 각종 규제는 전반적으로 경영여건을 압박할 것으로 예견된다. 한국일보 조사에 의하면 39개 대기업 CEO 중 내년에 경영여건이 개선될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7명에 불과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도 일자리 창출이 올 예상치 30만개 보다 적은 25만개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환경이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기업할 맛 나는 분위기 조성을 통한 투자 유도로 경제를 활성화시키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재계가 호흡을 맞추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대통령은 이번 회동이 일과성 행사로 끝나지 않도록 재계의 의견을 듣고 긍정적인 것은 속전속결의 자세로 해결하는 한편 경제활성화를 위한 재계의 노력을 주문해야 한다. 재계도 각종 규제완화 및 기업의 부담을 가중 시킬 우려가 있는 상법 및 공정거래법 개정 등에 대해 재계의 입장을 허심탄회하게 전달해야 한다. 특히 재계는 이번 만남의 뜻을 살려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은 물론 자금을 쌓아두기만 할 것이 아니라 투자를 통한 경제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의 모범을 보여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