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장 핫라인] 부산대 양산캠퍼스 조성

"부지교환·지의대만 이전" 교육부 절충안 제시에 市·대학 반발 부산대의 제2캠퍼스 양산조성 계획이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또 한해를 넘기게 됐다. 부산대의 제2캠퍼스 조성은 지난해 7월부터 부지선정을 둘러싸고 부산시와 부산대의 대립에서 출발, 시민단체 및 정치권까지 비화돼 시민ㆍ사회단체들로부터 빨리 매듭을 지어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 27일 부산대의 제2캠퍼스 부지문제에 따른 부작용을 조기 차단하기 위해 부산 안상영시장, 부산대 박재윤 총장과 절충안을 논의했다. 이날 교육부는 ▦제2캠퍼스 이전하지 않고 부산대 소유 부지인 수영구 민락동 2,600평, 사상구 주례동 5만3,000평과 한국토지개발공사 소유인 양산 부지 12만평을 맞 교환하는 방안 ▦공대의 경우 금정구 장전동 캠퍼스에 남기고 의ㆍ치대만 양산에 이전하는 방안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부산대는 "제2캠퍼스 조성이 전제되지 않는 부지 교환은 의미가 없으며 의렬〈? 뿐 아니라 열악한 장전동 캠퍼스 부지문제를 고려하면 공대 이전도 불가피한 만큼 교육부 안을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부산시도 "이전이 전제되지 않는 부지교환은 반대할 이유가 없으며, 의렬〈釉맛? 이전도 반대하나 일단 시의회나 시민단체 등 지역의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겠다"고 밝혀 교육부의 절충안을 거부했다. 한편 부산시는 부산대의 제2캠퍼스 양산이전에 따른 지역경제 악화를 우려해 일선 구런봤뼈? 동원한 시 차원의 부산대 제2캠퍼스 시역외 조성 반대운동을 펼쳤고, 부산대는 신문광고 등을 통해 대학의 자율결정을 침해한다며 반발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출신 국회의원이 자신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부산대 교수를 고소하고, 부산대 총학생회가 대학의 제2캠퍼스 조성계획을 비판하며 총장실을 점거 농성하는 돌출사건도 발생했다. 부산대는 경남 양산시 물금면 범어리 및 가촌리 34만평을 교육부에 요청한 반면, 부산시는 시역내인 기장군 일대의 제2캠퍼스 후보지를 교육부에 추천한 바 있다. 유종철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