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시장 격변기 재테크] "이자 한 푼이라도 더…"

RP, 다른 상품보다 최고 1%P 높고 안전성도 좋아<br>6개월짜리 CP도 6% 중반으로 고액 자산가에 인기


이자를 한 푼이라도 더 챙기고 싶다면 환매조건부채권(RP), 기업어음(CP) 등 고금리 단기 상품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들 상품은 은행권의 주력 상품은 아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권유하지 않지만 고액 자산가를 고객으로 삼는 PB들은 재테크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이들 상품을 편입하라고 조언한다. 특히 RP 상품은 정기예금 등 기존 단기 정기예금 상품보다 금리가 최고 1%포인트 가까이 높은데다 대상 자산이 국공채, 은행채 등으로 안전성도 높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아울러 캐피탈 회사 등에서 발행하는 6%대 중반(6개월 기준)의 6개월짜리 CP도 대표적인 단기 고금리 상품이다. ◇RP는 수익성ㆍ안전성 겸비=RP 금리는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보유한 국공채, 은행채 등을 투자자에게 담보로 제공하고 돈을 빌릴 때 적용하는 금리를 말한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RP 시장이 콜 시장 못지않게 발달해 있기 때문에 RP는 대표적인 단기금융상품의 하나로 자리잡았다. 은행 입장에서 RP 상품은 예금자보호법 적용 상품이 아니다. 따라서 예금보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데다 한국은행에 지급준비금을 쌓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자산운용이 자유롭고 조달비용도 저렴해 다른 상품보다 높은 금리를 적용한다. 외환은행은 최저 가입금액 1,000만원으로 6개월 기준 6.0%의 금리를 주고있다. 이는 5%대 후반인 CD예금보다도 높은 것이다. 높은 금리를 받으면서도 안전성도 떨어지지 않는다. 투자자들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받는 담보 자산이 대부분 국공채나 은행채이기 때문에 국가나 은행이 쓰러지지 않는 이상 원금이나 이자를 까먹을 가능성이 없다. 만기는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등에서 2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신한은행은 6개월 기준 RP 금리를 공식적으로는 4.75%로 제시하고 있지만 창구에서의 금리 조건 협상에 따라 최고 6.6%도 가능하다. 외환은행의 최저 가입금액은 1,000만원, 신한은행은 500만원이다. 최근 우리은행이 발행했던 RP상품인 ‘황금 RP’는 6%대 후반의 금리를 적용하는 데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중도 해지도 가능해 투자자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었다. 1차로 5,000억원의 물량이 단기간에 판매되자 2차로 5,000억원의 물량을 추가로 팔았다. ◇CP도 대표적인 단기 고금리 상품=단기 고금리 상품의 왕자는 단연 CP다. 삼성전자나 우량 캐피탈 회사(신용등급 A1)의 CP를 기준으로 6개월짜리가 6.4%에 이른다. 통상 3개월, 6개월 단위로 발행되는 우량 CP는 안전성도 높은 데다 단기간에도 많은 이자를 주기 때문에 고액 자산가들이 단기 포트폴리오 구축 차원에서 선호하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다. 정기예금처럼 매일매일 창구에서 가입할 수 있는 게 아니라 해당 기업이 발행할 때마다 제한적으로 물량이 나오기 때문에 미리 발행 정보를 입수한 후 창구를 찾아가야 한다. 통상 3개월, 6개월 단위 물량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기업의 CP 만기가 언제 도래하는지를 알아두면 편리하다. 통상 기업들은 CP 만기가 돌아오면 차환 발행을 위해 신규 CP를 또 다시 발행하기 때문이다. 은행별로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최저 가입 금액은 1,000만원이다. CP는 일반 은행계정이 아닌 신탁 계정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정기예금 등을 취급하는 일반 창구 직원들은 CP 발행 정보를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신한은행 신탁부의 안융일 과장은 “적정 포트폴리오 구축 차원에서 자산가들은 단기 고금리 상품에 찾는데 가장 선호하는 게 CP”라며 “특히 최근처럼 경제 상황이 불확실하고 금리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울 때는 CP가 좋은 투자대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