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건국대, 젊고 유능한 과학자들 추가 영입할 것"

建大, 첫 총장 석학교수 한동욱씨

건국대 1호 총장 석학교수인 한동욱(가운데) 박사가 3일 건국대에서 임명장을 받은 후 김경희(왼쪽) 이사장, 김진규 총장과 함께 기념촬영을 위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건국대

건국대는 최근 김진규 총장이 대학 총장용 관용차 대신 자전거를 이용하면서 생긴 차량 구입비와 운영비 등의 절약 예산으로 연구실적이 우수한 과학자를 초빙하는 '총장 석학교수' 제도를 신설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김 총장은 3일 오전 세계 최고의 기초과학연구기관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한국인 연구원으로 줄기세포 분야에서 세계적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한동욱(36) 박사를 총장 석학교수 1호로 임용, 한 박사에게 총장 석학교수 임명장을 수여하는 것으로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 건국대의 한 관계자는 "김 총장이 지난해 9월 취임하면서 대학의 연구역량을 높이기 위해 학교가 제공하는 총장 전용 승용차를 타지 않고 매일 자전거로 출퇴근하면서 차량 구입비 등을 절약해 만들어진 재원으로 젊고 유능한 외부 과학자를 채용하는 데 쓰겠다는 약속을 실행에 옮긴 것"이라며 "추가 재원이 확보되면 총장 석학교수로 젊고 유능한 외부 과학자를 한두 명 추가 영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 박사는 건국대 동물생명공학과를 졸업하고 건국대 대학원에서 줄기세포 관련 연구로 석ㆍ박사 과정을 마쳤다. 지난 2008년부터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그는 최근 '줄기세포의 역분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셀과 네이처 등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학술지에 논문을 연속 게재했다. 특히 한 박사는 세계적 줄기세포 석학인 한스 쇨러 막스플랑크 분자생의학연구소장 등과 함께 공동연구를 해오며 최근 5년간 22편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을 국제 학술지에 발표하고 최근 일반세포의 직접 역분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줄기세포와 이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획기적인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건국대는 총장 석학교수 1호인 한 교수가 당분간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자신의 연구팀을 이끌며 '줄기세포의 직접 역분화'와 관련한 기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파견근무 형태로 배려하고 1년 후 건국대에서 별도의 연구센터를 만들어 강의 등에 구속받지 않고 후속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지난해 9월 서울대 의대 교수에서 건국대 총장으로 영입된 김 총장은 총장용 차량 구입비 등을 절약한 예산으로 총장 석학교수를 추가 임용할 예정이다. 김 총장은 또 '연구하는 대학, 공부하는 대학'을 만들기 위해 연구 우수 교수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고 연구전임교수를 임용하는 등 대학 연구역량을 높이는 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