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형 母子보건사업 개도국에 전파"

한ㆍ중ㆍ일 3국이 전문인력 양성키로

우리나라가 라오스에 지원하고 있는 한국형 모자(母子)보건사업을 한ㆍ중ㆍ일 3국이 공동으로 개발도상국에 지원하는 공적개발원조(ODA) 수단으로 삼기로 했다. 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21일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4차 한ㆍ중ㆍ일 보건장관회의’에서 “개도국의 모자보건 개선을 위해 한ㆍ중ㆍ일 3국이 공동으로 협력하기로 합의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3국 보건 당국은 UN 새천년개발목표(MDGs) 8개 중 가장 성과가 저조한 개도국의 영아사망률 및 모성사망률 개선을 위해 협력할 필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를 위해 진 장관은 1970년대 전국 보건소에 모자보건요원을 배치해 산전ㆍ산후 진찰과 분만관리를 실시함으로써 모자사망률을 획기적으로 낮춘 우리의 사례를 소개하고 이런 경험을 토대로 개도국 모자보건개선 사업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진 장관과 천주(陳竺) 중국 위생부장, 호소카와 리츠오 일본 후생노동성 대신은 주요20개국(G20)의 일원으로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역할 수행이 필요하며 개도국 모자보건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방안을 모색하기로 다짐했다. 진 장관이 합의를 이끌어낸 개도국 모자보건 개선은 지난 5월 전재희 전 복지부 장관이 세계보건기구(WHO) 총회 기조연설에서 “UN MDGs 달성을 위해 국제사회의 노력에 WHO와 전 세계 보건장관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것을 계승,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복지부는 이미 라오스와 협약을 맺고 모자보건증진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