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절약이 에너지다] ESCO산업 육성, 전문인력부터 키워야

2015년 국내시장 규모 5배 늘어 1조원 불구 업체마다 인력 태부족

최근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사업에 진출한 A기업은 경력사원 채용과정에서 꽤나 애를 먹었다. 아직 시장이 초기 단계인 까닭에 신규 직원을 뽑기 어려워 경력사원으로 눈을 돌렸지만 전문가 구하기가 무척 힘들었기 때문이다. 신규 시장이 창출되며 발생하는 인력 쟁탈전은 ESCO 분야도 마찬가지다. 업계에서는 에너지 절약 관련 전문인력 기근현상으로도 표현한다. ESCO 사업의 인력수요가 늘어나면서 에너지 절약 전문가들이 귀한 몸으로 떠오르는 것이다. 전세계 에너지 절약 부문의 잠재시장 규모는 연간 260조원으로 추정된다. 정부는 국내 ESCO시장 규모를 지난해 2,000억원에서 오는 2015년 1조원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체 182개 ESCO 기업 중 34%가 지난해 새로 뛰어들 정도로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보니 시장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도 많다. 대형화ㆍ전문화뿐 아니라 인력공급 확충을 통한 산업육성이 절실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ESCO 등 에너지 절약사업을 추진하는 대다수 기업들은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다. 그마저도 신규 인력이 투입되기보다 기존 경력자들이 자리만 옮기는 상황이다. 에너지 절약 관련 전문인력은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에너지관리사 자격제도를 도입해 인력을 배출해내는 정도에 그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채용시장에 나와 있는 취업자 수는 많지만 정작 필요한 분야의 자격을 갖춘 인력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힘들 정도"라며 "인력양성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LG전자를 비롯한 대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ESCO 사업도 대형화ㆍ전문화를 추구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아직까지는 삼성에버랜드나 일부 외국계 기업을 제외하고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는 기업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또한 전문 분야 없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같은 사업에서 경쟁하는 구조를 보이며 기술력보다는 가격경쟁에 치중돼 있다. 전문가들은 대형화를 통한 기술경쟁으로 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정부는 정책자금 배정시 절약효과 전문성, 성과보증, 민간투자, 업계 기여도 등을 평가해 선별 지원하는 경쟁체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에너지 의무진단 결과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고 경제성이 있을 경우 해당 기업의 ESCO 추진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더불어 대중소 컨소시엄을 통한 대형 사업을 우대해 서비스 중심의 대형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특정 기술 분야 실적이 일정 규모 이상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문ESCO지정제도'도 시행한다. 최근 들어 시장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건물 에너지관리, 폐열회수ㆍ플랜트 공정개선, 집단에너지 등 각각 특화된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대중소기업 간 다방면의 협력도 기대된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대기업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에너지 절약효과가 큰 사업을 추진하고 중소기업들은 해당 분야에서 전문적인 역량으로 사업에 참여해 ESCO 산업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