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상장사 CEO 평균 임기는 4.68년'

그룹 구조본.외국인 주주가 영향

상장사의 최고 경영자(CEO)들은 한 번 임명되면 평균 4.68년 정도 직위를 유지한다는 추계결과가 나왔다. 또 CEO들의 교체여부에 국내 기관투자가들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총수의 '오른팔' 노릇을 하는 재벌그룹의 구조조정본부와 외환위기후 지분을 크게늘린 외국인 주주들의 영향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추계는 17일 한국기업지배구조 개선지원센터(CGS)가 발간하는 격월간지'CG리뷰' 5.6월호에 게제된 연세대 신현한 교수(CGS 연구위원)의 논문에 담긴 내용으로 신 교수는 1993∼2002년 한국신용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실려있는 비(非)금융 상장사들의 자료를 토대로 이런 결과를 제시했다. 논문에 따르면 전체 4천792개 기업(10년간 매년 조사대상 기업 중복허용 합산)중 조사 대상 기간 CEO가 교체된 기업은 1천25개, 경영자 교체비율 평균은 21.398%로 평균 4.68년마다 전체 상장사 CEO가 교체되는 셈이다. 특히 1993년(26.05%)을 제외하면 1994∼1996년의 CEO교체비율은 16.86∼18.31%선이었으나 1997∼2001년까지는 21.39∼24.24%로 매년 20%대를 상회해 외환위기후 CEO 교체빈도가 더욱 높아졌다. 신 교수는 "미국 뉴욕증시(NYSE)와 아멕스 거래소 상장기업중 임의 선정된 269개사를 대상으로 1963년부터 1978년까지 조사한 결과 교체빈도는 18.3%였다"며 "우리나라 기업의 CEO교체빈도가 미국보다 높다"고 진단했다. CEO의 임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국내 기관투자가들의 영향력은 거의나타나지 않는다는 통계적 분석결과도 제시됐다. 신 교수는 논문에서 "산업조정 자산수익률과 국내 기관투자가 지분의 교차변수가 CEO교체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기관 투자가지분 증가는 경영성과에 연동된 최고 경영자 교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기관투자가가 CEO를 감시하는 역할에 적극적이지 않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회귀분석 결과 외국인 투자지분과 재벌 구조조정본부의 영향을 분석하는회귀분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됐다. 신 교수는 "이는 재벌 소속 기업들의 CEO에 대한 평가와 보상, 인사발령에 깊이관여하는 재벌의 그룹본부가 성과와 연동한 CEO교체를 실시하고 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이며 재벌그룹의 CEO교체가 활발한 것은 정부와 비정부기구, 외국인 투자자등의 개혁 압력 결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