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백화점 3만원대 정장 알고보니 ‘미끼’

연초부터 백화점들이 잇따라 벌인 `3만원짜리 신사정장` 행사는 실상 소비자를 유혹하는 `미끼`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행사장을 찾은 대부분 소비자들은 제값이나 다름없는 최고 35만원에 1~2년 된 재고 상품을 산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이같은 미끼상품은 제대로 수선이 되지 않는 등 서비스도 형편없어 소비자들을 이중으로 속인 게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사정장 초특가전 경쟁 새해 첫 달 3일부터 `신사정장 최저가 파격 공개전`를 열어 `3만원짜리 정장`의 원조격이 된 애경백화점 서울 구로점은 이달 6일부터 15일까지 다시 비슷한 행사를 연다. 지난달 27일부터 이 달 5일까지 `신사정장 사계절 상품 창고 대방출` 행사를 벌였던 그랜드백화점 경기 일산점도 12일까지 또 다른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롯데백화점 서울 영등포점도 지난달 16~20일에 이어 이달 6~12일에도 할인행사를 갖는다. 3만원짜리는 미끼상품 백화점들이 정장을 이처럼 싸게 팔 수 있는 것은 지난해이후 극심한 소비 위축에 따른 재고누적을 해소하기위한 포석에서 비롯됐다. 봄 신상품의 경우 2월 중순 나와서 8월쯤 시즌 마감을 하게 되는데, 팔리지 않는 제품은 세일 기간에 팔리거나 상설할인매장 등으로 넘어가게 된다. 그래도 남으면 창고에 쌓아 두었다가 1년 뒤 `이월상품전` 등을 통해 50%가량 할인된 가격에 판매된다. 이 경우에도 제조 원가 이하로는 팔지 않기 때문에 10만~20만원대의 가격은 유지하는데 작년의 경우 이마저도 불경기로 팔리지 않았다. 따라서 제조업체들은 창고비ㆍ물류비 등을 부담하느니 ㎏단위로 싼 값에 전문업자에게 파는 소위 `땡처리`를 한다. 이런 물건이 백화점의 `3만원짜리 미끼 상품`으로 등장한 것. 대부분 35만자리 구입 실제 한 백화점 행사장에는 `3ㆍ5ㆍ7만원 균일가`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었지만, 정작 3만원짜리 물건은 10%도 안됐다. 대신 대부분 최고 35만원짜리 정장이 걸려 있었다. 한 켠에는 `수선은 되지 않는다`는 표시도 있어 서비스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고객들이 3만원짜리를 사러 왔다가 품질이 보장되는 비싼 제품을 사게 되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바로 옆에 걸린 10만~35만원짜리 옷이 좋아 보이는 건 인지상정”이라며 “1~2년씩 창고에 보관돼 품질이 떨어지는 옷을 원가와 별 차이 없이 사게 된다”고 `미끼 전략`의 이면을 꼬집었다. 또 다른 백화점의 행사장에서 만난 김모(36ㆍ경기 안산)씨는 “막상 와보니 3만원짜리는 치수 맞는 것도 없고 살 만한 게 없다”며 “멀리서 왔는데 안 살 수도 없어 다른 것을 골라 보고 있다”고 말했다. <신기해기자 shinkh@hk.co.kr>

관련기사



신기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