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황해에 무인정찰기 배치 정찰활동


중국이 지난주 황해에 처음으로 무인정찰기를 통한 정찰활동을 시작했다고 홍콩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30일 보도했다. 중국 랴오닝(遼寧)성 해사 당국은 다롄(大連)에 무인정찰기 배치통제 센터를 설립했으며 이 지역의 정찰과 원격탐지자료, 고해상도 사진 수집 같은 일상적 임무를 위해 무인정찰기를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군 무인정찰기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리쯔웨이(李紫薇) 중국과학원 요감응용연구원 교수는 이번에 투입된 무인정찰기는 군사장비가 장착되지 않은 민간용 모델이라고 분석했다. 리 교수는 인민해방군이 사용하는 무인정찰기는 수만m를 상승해 공중에서 재급유 없이 거의 24시간을 머무를 수 있는 뛰어난 모델이지만 랴오닝 당국이 쓰는 기종은 50cm 이상의 물체만 식별할 수 있는 카메라가 장착된 민간용 모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군용 무인정찰기는 너무 비싸서 국경 순찰과 같은 일상적 업무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리 교수는 무인정찰기는 다른 나라의 해역을 침범하기 쉬운 만큼 조심스럽게 운영해야 한다면서 랴오닝성의 무인정찰기 운영이 위험해 보인다고 우려했다. 그는 “민간 무인정찰기는 중국 본토에서 매우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기 때문에 해양과 같은 원거리 지역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일단 바다로 나가면 쉽게 다른 나라 공군의 레이더 화면에 잡힐 수 있어 외교적 분쟁의 가능성이 커진다”고 경고했다. 황해에서는 최근 중국 어선들이 한국 해역을 넘어와 불법 조업하다 나포되면서 한국과의 분쟁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반대로 중국 당국은 북한 탈북자 감시를 위해 해양 순찰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사진 ; 중국이 개발중인 최첨단 무인정찰기 ‘샹룽(翔龍)’ /환구망 홈페이지 캡처)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