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제일저축銀 부실' 檢수사 발표후 금감원도 검사 착수

"불법대출 단정 말라" 긴급 진화 나서<br>예금 대거 인출에 긴장속 "오해로 망해선 안돼" 강조<br>계좌추적등 현장 점검키로


3일 아침 국무회의가 열리기 직전, 김석동 금융위원장의 얼굴은 잔뜩 굳어 있었다. 부산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검찰의 수사발표 하루 만에 검찰발 저축은행 뉴스가 또 터져 나온 것이다. 그것도 대상이 총 자산 규모가 3조8,000억원에 이르는 서울의 제일저축은행이었다. 이 은행의 임직원이 금품을 받고 부동산개발업체에 600억원을 대출해줬다가 검찰에 기소된 것. 김 위원장은 국무회의 보고를 위해 급하게 실무자를 찾았고 핸드폰 메시지로 상황을 파악했다. 문제가 커져 추가로 영업 정지되는 저축은행이 나올 경우 지금까지와는 파장이 다를 것임을 김 위원장도 인식했던 셈이다. 금감원에서는 검찰발 뉴스를 접하자마자 곧바로 제일저축은행에 현장검사단을 투입할 정도로 긴장했다. 수사 소식은 곧바로 예금자들을 동요시켰다. 이날 오전까지도 창구에는 20여명이 줄을 섰다. 이날 오후1시까지 인출된 예금만 240억원에 달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평소보다 많은 규모"라고 전했다. 오후 들어 상황은 조금은 안정돼갔다. 인출 규모가 조금씩 줄어든 것이다. 금융 당국도 긴급 진화에 나섰다. 금감원은 오후3시께 부랴부랴 기자들을 찾았다. 문제의 600억원을 '불법 대출'이라고 단정짓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조성목 금감원 저축은행 검사 1국장은 "대출 이자가 제대로 들어오고 있고 대출이 나간 사업장 3곳을 파악한 결과 정상 영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해(불법 대출)로 저축은행이 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상황이 개인 비리일 뿐 제일저축은행의 전반적인 문제는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제일저축은행은 지난 회계연도 상반기(2010년7월~12월)에만 67억원의 이익을 냈고 고정이하여신도 6.1%로 업계 평균(10.6%)보다 훨씬 낮다. 연체여신도 13.5%로 업계 평균(17.9%)에 비해 낮은 편이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비중은 16%(5,200억원) 정도에 머물러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지난해 말 현재 8.28%다. 이런 점 때문에 제일저축은행에는 유달리 공직자들이 돈을 많이 맡기고 있다. 지난달 공개된 고위 공직자 재산공개 내역을 보면 경제ㆍ금융 관료 52명 중 17명이 저축은행에 예금을 넣어두고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일저축은행에 예치된 돈이 3억8,71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업계 1위인 솔로몬(3억290만원)보다 많았다. 금감원은 그래도 이번 부문 검사를 통해 좀더 따져볼 계획이다. 조 국장은 "계좌 추적을 통해 차주가 한 명으로 집중돼 있는지 등을 보고 대출 사업장에 대한 현장 점검도 해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큰 고비는 넘겼지만 사태의 불씨가 아직 남아 있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