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남북관계 경색 장기화 우려

北, 李대통령 대화제의 마저 거부

금강산 관광객 피살사건 이후 북한이 진상조사를 거부하고 이명박 대통령의 전면적 대화 제의마저 사실상 일축함에 따라 남북관계 경색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북한은 지난 12일 현지조사에 대한 거부입장을 밝힌 데 이어 13일에는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6ㆍ15, 10ㆍ4 선언의 이행을 언급하고 전면적 대화를 제안한 이 대통령의 11일 시정연설을 “일고의 가치도 없는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현재 남북 당국이 상반되는 목소리를 내세우며 맞선 형국인데다 양측 모두 퇴로가 없어 보여 남북관계는 당분간 외부변수 없이 양 당사자 간의 노력만으로는 정상화하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우선 공교롭게도 같은 날 이뤄진 이 대통령의 대화 제의와 관광객 피살사건에 대한 북측의 태도가 남측과 한동안 각을 세우겠다는 최고위층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민간인 피살의 책임을 전적으로 남측에 전가한 태도는 남한 내 정부의 대북정책에 반대하는 여론이 설 자리를 좁히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이를 북한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북측의 강경입장이 심상치 않다고 보는 이들이 적지 않다. 이와 관련, 지난해 한해 2,038만달러의 순수익을 북측에 가져다준 금강산 관광마저 중단된 만큼 남북관계에서 더 잃을 것이 없다는 판단 아래 더욱 강경 일변도 기조로 나오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 전문가는 “북한은 현재 미국과의 관계를 포함한 대외관계 개선을 중심으로 살길을 모색하는 과정”이라며 “언젠가 한계에 봉착할 수 있음을 인식하면서도 선 핵포기를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좌초시키려는 목적 아래 남한과는 가능한 한 최대한 각을 세우려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이날 청와대는 이 대통령이 언급한 ‘전면적 대화’ 기조는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당장 실현되기를 기대하기보다는 현 상황을 관리하려는 측면에서 나온 입장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