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CEO 10명중 6명 "내년 경제 다소 긍정적"

■ 한국경영자총협회 'CEO 경제전망조사'… '현 경기 침체국면 회복중' 40%

국내 최고경영자(CEO) 10명중 6명은 내년 경제성장률이 올해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0인 이상 211개 기업 CEO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발표한 `CEO 경제전망조사'에 따르면 61.5%가 내년 경제성장률(GDP 기준)을 4%이상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조사에서 61.0%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4% 미만으로 전망한 것과 비교할 때 CEO들이 내년 경제를 다소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의미다. 구체적으로는 `4%대'가 42.9%, `3%대'가 35.7%, `5%대'가 18.6%, `3%미만'이 2.8% 순이었다. 현 경기상황에 대해서는 40%가 `침체국면에서 서서히 회복중'이라고 응답한 반면 38.6%는 `경기회복세 정체국면'이라고 답변했다. 내년 투자계획은 78.3%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확대할 것' 응답했으며,세부적으로는 30.4%가 `소폭확대', 44.9%가 `올해와 비슷', 3.0%가 `대폭확대'라고응답했다. 내년 기업경영에 가장 큰 걸림돌은 44.9%가 `유가 및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원가부담'을 꼽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원가부담 요인이 감소하지 않을 것으로 우려했다. 아울러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제조업 공동화의 원인은 58.5%가 `고임금과 노사관계 불안'이라고 응답했으며,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에 대해서도 55.7%가 `확대될것'으로 전망했다. 노동시장 양극화 확대 원인은 `기업ㆍ산업간 수익성 양극화 심화'(39.5%), `대기업 정규직 노조의 무리한 요구'(34.9%), `대기업정규직 노동시장의 경직성 확대'(23.3%) 등을 꼽았다.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서는 91.2%가 보통이하로 평가해 경제정책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동산정책(37.5%)과 노동정책(29.7%)이 가장 실패한 경제정책으로 꼽혔다. 내년 5월 지방선거 등 향후 정치일정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73.9%가`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중국의 경제성장이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47.1%가 `국내산업의 경쟁력 약화'를 우려했다. 내년 물가수준에 대해서는 81.5%가 올해(2.7%,한국은행 추정)보다 높은 3~4%대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