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中企 양극화도 갈수록 심화

상·하위 기업 영업이익률 최고 30%P 차이


중소기업 내에서도 우량 기업과 비우량 기업간 양극화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정부의 백화점식 처방이 오히려 중소기업의 부실을 키우는 화(禍)로 작용했다고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4일 비판했다. 강동수 KDI 연구위원은 24일 내놓은 ‘중소기업의 부실현황 및 구조조정방안’ 보고서에서 외부감사 대상 중소기업 8,000개 기업의 재무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난 91년 이래 상위 20% 기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16.1~19.5% 사이에서 오르내렸다. 그러나 하위 20%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91년 -3.9%에서 2003년 -12.4%로 지속적으로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과 은행이자 등 금융비용을 비교한 이자보상배율도 차이가 났다.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 기업 가운데 상위 20% 기업은 93년 14배에서 2003년 65배까지 늘었다. 반면 하위 20%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91년 15.3%에서 2003년 32.9%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강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구조조정을 위해 정부가 금융지원을 강화할 경우 부실기업에도 무차별적으로 지원이 제공된다”며 “이로 인해 자칫 구조조정 필요성을 약화시키고 부실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 중소기업의 부실문제는 (정부가)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보다 도식적인 지원정책이 지속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비판했다. KDI는 성공 가능성이 낮은 중소기업에 대한 회생형 구조조정의 대안으로 채권은행의 공동관리(워크아웃)를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강 연구위원은 신보ㆍ기보ㆍ수출보험공사 등이 부실기업 채무재조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법적 제약을 해소하는 한편 금감원의 상시신용위험평가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