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갑자기 날벼락 맞은 한국 가구업체들

중소업체 "대표적 손톱 밑 가시" 반발<br>코앞으로 다가온 가구 공공조달 KS인증 의무화<br>조달시장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 인증 획득·유지 비용 부담 커<br>조달청 "품질 불만 높아" 강행



갑자기 날벼락 맞은 한국 가구업체들
중소업체 "대표적 손톱 밑 가시" 반발코앞으로 다가온 가구 공공조달 KS인증 의무화조달시장 소규모 업체가 대부분 인증 획득·유지 비용 부담 커조달청 "품질 불만 높아" 강행

윤경환기자 ykh22@sed.co.kr

























가구 공공조달시장에 KS인증 의무 도입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중소업체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가구류 품질강화가 목적이라는 조달청의 주장에 중소가구업체들은 "조달시장에 갑자기 KS인증을 도입하면 작은 업체들은 곧바로 죽어날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31일 조달청에 따르면 조달청은 늦어도 2월초까지 KS인증이나 단체표준인증을 보유한 업체만 가구류 조달시장에 진입하도록 하는 다수공급자계약(MAS) 연간 공고를 발표할 방침이다. 지난해 10월말 발표 이후 중소가구업체 대부분의 강한 반발을 받았던 MAS 개정안을 강행하는 셈이다.

규정 개정안은 60개의 가구 조달제품 가운데 55개는 KS 또는 단체표준인증 보유업체로 MAS 등록 자격을 즉시 제한하고, 아직 표준규격이 제정되지 않은 고정식 연결의자 등 5개 품목에 대해서는 3월말까지 표준규격을 마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올 3월까지 품목별로 KS인증과 단체표준인증을 획득하지 못한 업체는 MAS 가구시장에서 바로 퇴출된다.

김일수 조달청 쇼핑몰기획과장은 "가구의 경우 그동안 떨어지는 품질에 대한 불만이 수요기관 등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며 "다른 업종도 대부분 표준화 작업을 완료ㆍ진행 중인 만큼 가구도 그 연장선 상에서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중소가구업계는 강한 반감을 내비치고 있다. KS인증 획득ㆍ유지 비용이 업체 입장에서 큰 부담인 데다 가구의 경우 소비자 취향에 따라 워낙 다양한 제품군이 존재하는 만큼 KS 기준으로 획일화하려는 시도는 시대착오적이라는 것. 기존처럼 KS인증 제품에 대한 가산점 유지까지는 인정할 수 있으나 지금처럼 경기가 어려울 때 이를 강제하는 것은 10억 매출 미만 기업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구 조달업계 입장에서는 사형선고라는 주장이다.

관련기사



중소가구업계는 개정된 규정 도입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더욱 다급해진 모양새다. 현재 이 문제를 중소업계의 대표적인 '손톱 밑 가시'라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까지 적극 민원을 넣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금속가구협동조합연합회 관계자는 "KS인증이 지난해 개선되면서 조금 나아지기는 했으나 여전히 소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이고 지금과 같은 불황에 이렇게 갑자기 KS인증을 의무화하는 것은 업체들을 그대로 죽이는 결정"이라며 "그동안 계속 강화된 환경기준도 업체들이 모두 따라줬고 ISO인증도 정부쪽 요구로 대부분 취득했는데 민수판매나 수출에 더 이상 도움도 안 되는 KS인증은 왜 또 요구하는지 이해가 안간다"고 항변했다. 그는 이어 "최근 가구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 때문에 비규격 제품이 느는 추세인데 반도체 등 다른 제품과 같은 방식으로 표준화하면 안된다"며 "조달청이 업계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결정했다는 점에 대해 가구업체들의 불만이 높다"고 전했다.

A중소가구업체 관계자도 "KS인증을 의무화하면 이를 곧바로 부담할 수 있는 상위 몇몇 업체들만 조달시장에 참여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그냥 예전처럼 KS 가점 수준으로 규정을 유지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 품질 확보를 위한 개정 방향은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일부 유예기간을 두는 방식으로 불만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김 과장은 "가구 쪽은 다른 업종보다 조달업체 수가 많고 제품도 많아 불만이 더 많이 나오는 편"이라며 "업체 입장에서는 규정을 바꾸지 않는 게 낫다는 것을 알지만 품질 확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어 규정은 그대로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가구업계의 입장을 고려해 일정 부분 유예기간을 주는 방안을 현재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