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등학교 3학년 일제고사 8일 실시


초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국가 수준 기초학력 진단평가(일제고사)가 8일 전국 5,756개 초등학교에서 실시됐다. 초등학생들의 기초 학력수준, 학업능력 발달상태 등을 측정하기 위해 매년 실시되는 일제고사는 지난해까지 전국 초등학교 3학년 가운데 3%의 학생만을 표집해 실시했으나 올해부터 전국의 모든 초등학교 3학년으로 확대됐다. 이는 올해말부터 시행되는 학교 정보공시제를 앞두고 학력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수 방식으로 학력평가가 실시되기는 98년 이후 10년만이다. 시험은 1교시 읽기, 2교시 쓰기, 3교시 기초수학 등 3개 영역으로 치러졌으며 응시대상 학생수는 남학생 31만2,225명, 여학생 28만6,299명 등 59만8,524명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2월 학교 정보공시제에서 기초학력 수준 도달 및 미도달 학생 비율을 지역 교육청별로 공개할 예정이며 2010년 평가부터는 지역 교육청뿐 아니라 개별 학교별로 자체적으로 기초학력 도달 및 미도달 학생 비율을 공개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평등교육실현을 위한 전국학부모회 등 6개 단체로 구성된 ‘일제고사를 반대하는 서울 시민모임’은 “표집평가로도 충분한데도 불구하고 일제고사를 치르는 것은 학교서열화로 초등생의 학습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에서는 시민모임 주도로 초등학생 160여명이 학부모,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 관계자 등과 함께 일제고사를 거부하고 생태 체험학습을 떠났다. 전교조도 기자회견을 열고 “전국의 모든 학교가 동시에 같은 문항으로 시험을 보는 일제고사를 중단하고 진단평가와 학업성취도 평가를 일정 비율의 표집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는 “시험거부 행동을 한 교사에 대해서는 관련 규정에 따라 시도 교육청을 통해 징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시험을 거부하고 생태학습을 떠난 학생들은 모두 결석처리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