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미세먼지농도 95년 관측 이래 최저치

서울시 내 대기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서울시 내 대기 평균 미세먼지농도(PM10)가 ㎥당 55㎍(마이크로그램)으로 지난 1995년 관측 시작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극미세먼지(PM2.5)도 평균 26㎍/㎥로 2003년 관측 시작 이후 가장 낮았다”고 7일 밝혔다. 연구원은 또 대기질이 쾌적하다고 체감할 수 있는 날(미세먼지 20㎍/㎥ 이하)이 2001년에는 10일 정도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28일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경유차량에 대한 저공해화사업과 친환경 압축천연가스(CNG) 버스 보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결과는 운행 경유차 저공해화사업 등 그간의 대기질 개선 노력의 성과가 가시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는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4만2,000여대의 경유차량에 배출가스 저감 장치를 부착하는 저공해화사업을 추진했고 전체 시내버스 7,750대의 70%인 5,420대를 CNG 버스로 바꾸는 등 대기질 개선에 앞장서왔다. 시는 올해도 1,400억원을 투입, 경유자동차의 미세먼지 저감 대책을 추진하기로 하고 이를 통해 연간 약 150톤의 미세먼지를 줄여 미세먼지 농도를 51㎍/㎥ 수준으로 끌어내릴 방침이다. 한편 시는 지난해 3월 개정된 ‘수도권특별법’에 따라 7년 이상 경과한 2.5톤 이상 경유차량이 매연 여과장치를 부착하지 않거나 LPG 엔진으로 개조하지 않을 경우 시내 운행을 제한하는 조례를 올 상반기에 제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