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감녹은] 산업자원위"한중 미수금 눈덩이 회수대책 있나"

국회 산업자원위원회의 3일 한국중공업에 대한 국감은 미수금 회수대책과 발전설비부분 일원화 문제 등이 뜨거운 쟁점으로 떠올랐다. 특히 여당의원들은 한중의 한나라당 대선자금 불법 제공문제를 거론했다.국민회의 김명규(金明圭)의원은 『98년 8월 현재 한중의 부실채권은 한보철강(주) 741억4,800만원, 신한철강(주) 21억1,500만원 등 국내 879억6,400만원과 해외 411억5,900만원을 포함, 총 1,191억2,300만원에 달한다』며 회수대책을 따졌다. 국민회의 박광태(朴光泰)의원은 『97년의 경우 영업이익이 96년 대비 28.5%나 증가하였으나 미수금에 따른 차입금의 증가로 인한 금융비용 등 영업외 비용이 무려 156.3%나 증가, 결국 경상이익은 53%나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朴의원은 『97년 452억원의 순이익에도 불구하고 자금수지는 1,126억원의 마이너스를 보여 결국 재무제표상으로는 순이익을 냈다고는 하지만 사실상 적자라고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의원은 『98년 9월말 해외프로젝트의 미수금 규모가 얼마나 되고 국가적으로 달러가 부족한 상황에서 그 미수금을 어떻게 회수할 것이냐』고 힐난했다. 한나라당 안재홍(安在烘)의원은 『한중은 삼성과 포괄승계 양해각서에 합의, 한중의 사업에 필요가 없거나 중복되는 범용설비를 인수할 경우 고정비 부담및 과도한 인수자금으로 재정적 부담이 가중돼 경쟁력 약화에 원인을 제공할 것』이라며 이에대한 대책을 촉구했다. 자민련 김칠환(金七煥)의원은 『일원화계획은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구체적인 계획조차 수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라며 『발전설비 일원화에 따른 유휴설비 활용과 부채 해결방안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한나라당 강현욱(姜賢旭)의원은 『123억원의 유예이자와 이자를 포함한 450억원의 부채로 인해 극심한 자금압박을 받고있는 대한화학기계(주)를 인수하여 (주)한중DCM을 탄생시킨 이유는 무엇이냐』고 질타했다. 특히 국민회의 김경재(金景梓)의원은 『한중의 4개 협력업체에게 총 2억원의 자금을 요구, 한중 사장이 한나라당에 대선자금을 제공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윤영석(尹永錫)한중사장은 『발전설비 일원화로 한중의 민영화 성사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으며 매각 가치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뒤 『앞으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사업의 경험을 살려 통일에 대비한 북한 발전설비의 현대화 사업에도 앞장 서겠다』고 답변했다. 尹사장은 『연말까지 북한 경수로 건설사업인 KEDO 프로젝트와 최종 협상중인 중동 프로젝트 등이 성사되면 올해 수주목표 3조53억원을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창원=양정록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