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스캔e-사람] 이창석 인트로모바일 사장.

“전세계 무선인터넷 시장을 아우르는 선도기업이 되겠습니다” 모바일 솔루션 전문기업인 인트로모바일 이창석 사장은 젊은 패기 만큼이나 의욕이 강하다. 벌써 몇 년 앞을 그려놓고 앞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 사장의 자신감 뒤에는 자체 개발한 솔루션이 있다. 모바일 고객관리(CRM), 모바일 멀티미디어메시징서비스(MMS) 솔루션 등은 인트로모바일의 대표 제품으로 국내보다 해외에서 인기가 더 높다. 이 회사는 지난 2001년 11월 중국의 차이나모바일에 모바일 CRM솔루션을 3년간 300만달러의 로열티를 받는 조건으로 수출했다. 지난해 9월에는 태국의 이통서비스회사인 허치슨에 MMS솔루션을 수출했다. 판매 및 구축비용 100만달러와 3년간 600만달러의 로열티를 받는 파격적 조건이었다. 지난 4월에는 남미 최대 이통사인 VIVO(옛 브라지셀)의 MMS 솔루션 독점공급자로 선정됐다. 이밖에 미국 버라이전, 호주 텔스트라, 일본 산요 등에 MMS솔루션을 공급했다. 이 사장은 “MMS는 텍스트는 물론 동영상, 그래픽, 사진, 음악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메시징 서비스로 이동통신업계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수익모델로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며 “외국산 솔루션보다 우리 솔루션이 기술력에서 한발 앞서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제치고 독점 공급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현재 MMS솔루션을 자체 개발, 판매까지 할 수 있는 기업은 미국의 오픈웨이브, CMG, 이스라엘의 컨버서 등 세계적으로 3~4개 업체에 불과하며 그 중에서도 인트로모바일의 기술이 최고라는 것. 홍익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한 이 사장은 당시 누구나 그랬듯이 대기업 취업을 원해서 삼성전자에 입사했다. 공학도였지만 보다 적극적인 삶을 원했던 이 사장에게 상품기획 업무는 시장을 예측하고 어떤 전략으로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노하우를 가르쳐 주었다. 여기에다 직접 기획한 상품을 해외에서 판매하는 실전경험까지 삼성에서 익힌 이 사장은 “지금 사업성장의 가장 큰 밑거름이 바로 삼성전자 시절의 열정과 도전정신”이라고 말했다. 2000년 벤처 붐이 불면서 이 사장은 몸이 달아 오르기 시작했다. “불확실했지만 도전해 보고 싶었어요. 최선을 다하고 결과에 승복하리라고 스스로 다짐했어요” 결국 2000년 7월 이 사장은 인트로모바일을 설립했다. 부사장을 맡으며 특기인 상품기획과 해외영업을 직접 진두지휘해 왔다. 이 사장은 “국내 정보통신부문이 해외보다 훨씬 앞서 있는 것 같지만 막상 해외에 수출하려면 경쟁력을 갖춘 제품이나 서비스를 찾기 힘들다” 고 말한다. 전반적인 기초기술이 약한 면 있지만 국내 모바일 시장은 콘텐츠가 중심인 반면 해외는 인프라가 되는 솔루션이 중심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대표이사에 취임한 이 사장은 또다시 자신의 아이디어가 상품화된다며 올 하반기를 주목해 달라고 말했다. 지능형 휴대폰 대기화면 제어 솔루션인 `인트로패드`인데 이미 국내특허 획득과 세계 특허출원을 마치고 국내외 메이저 이통사 및 단말기 제조사들과 사업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은 “올해 매출목표는 120억원 입니다. 신제품 등을 감안하면 내년엔 좀더 많은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매출목표를 정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조충제기자 cjcho@sed.co.kr>

관련기사



조충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