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진행성 간암, 방사선 치료병행땐 "생존율 2.5배나 높인다"

연세대 성진실 교수팀 밝혀

진행성 간암, 방사선 치료병행땐"생존율 2.5배나 높인다" 연세대 성진실 교수팀 밝혀 잦은 재발과 저조한 생존율을 보이는 진행성 간암의 새로운 치료법이 소개됐다. 연세대의대 성진실(영동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ㆍ사진) 교수팀은 최근 미국 애틀란타에서 열린 ‘Americ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학술대회에서 “간암의 보편적인 치료법인 간동맥 항암 색전술이 진행성 간암에서는 잦은 재발과 낮은 생존율을 나타낸다”면서 “간동맥 색전술과 함께 3차원 정밀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면 종양크기를 축소시키고 생존율도 2.5배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간암은 수술 등 여러 치료법이 나와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가 가능한 치료법은 한정돼 있는 실정이다. 진단이 늦었거나 특히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지역의 경우 만성간염이나 간경변증으로 인해 간 자체가 이러한 치료를 감당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진행성 간암의 경우 주로 항암 색전술로 시도하고 있으나 이 치료법은 종양크기가 3㎝ 이내여야 완전 괴사가 가능하고, 그 이상이면 불완전한 치료를 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성진실 교수팀은 진행성 간암에 대해 간동맥 항암색전술을 시행한 후 3차원 정밀방사선 치료를 추가로 시행, 종양 괴사율을 높이고 생존율을 2배 이상 향상시켰다. 종양의 크기가 5㎝ 이상인 환자 105명 중 간동맥 항암색전술 효과가 불완전한 73명을 대상으로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 군(38명)은 2년 생존율이 36%를 차지했다. 이는 방사선 치료를 하지 않은 군(35명)의 생존율 14% 보다 약 2.5배 높은 것이다. 치료성적은 종양 크기가 커질수록 차이가 뚜렷해 8㎝ 이상의 경우 방사선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는 2년 생존자가 전혀 없었지만 방사선 치료군에서는 50%의 생존율을 보여 방사선 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큰 역할을 하는 것을 증명했다. 성 교수팀은 90년대 초부터 방사선 치료를 간암에 적용해 왔으며 이 분야에서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아 종양학의 주요 국제교과서에 인용되고 있다. 성 교수는 방사선 종양학분야의 최고 권위잡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에 국내 유일한 editorial board를 맡고 있으며, Clinical Cancer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등에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상영 의학전문 기자 sane@sed.co.kr 입력시간 : 2004-10-25 21:5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