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中企 "3분기 경기 더 악화"

내수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자금난이 심화되면서 중소 제조업체들은 3ㆍ4분기에도 경기가 더 나빠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8일 신용보증기금이 연간 매출액이 10억원 이상인 신용보증 이용업체 1,700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중소기업의 3ㆍ4분기 제조업 전망 실사지수(BSI)는 90으로 전 분기(97)보다 떨어졌다. BSI가 100보다 낮으면 향후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다. 신보가 조사하는 경기전망 BSI는 지난 1ㆍ4분기 104를 기록한 후 2분기 연속 하락하고 있다. 신보의 한 관계자는 “업체들은 3ㆍ4분기가 되면 가동률(109)과 판매동향(108)이 호전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국제유가 및 원자재값 상승에 따라 채산성이 악화되고 장기적 내수부진, 자금난 등이 겹치면서 경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내다봤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보면 수출과 내수의 괴리가 커지면서 ▦전기ㆍ전자ㆍ통신업(106) ▦사무ㆍ의료ㆍ정밀기기(104) ▦조립금속(103) 등은 3ㆍ4분기에도 호조세가 이어지는 반면 ▦고무ㆍ플라스틱 제조업(77) ▦종이ㆍ출판ㆍ인쇄업(73) ▦목재ㆍ가구ㆍ기타 제조업(65) 등의 경기는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별로는 대구 지역의 경기전망 BSI가 83으로 가장 낮았고 규모로 따지면 1~5명 이하 영세 소기업(66)이 200명 초과 기업(108)보다 훨씬 부정적으로 봤다. 업체들은 경기가 악화된 요인으로 국내수요 감소(36.3%)를 가장 먼저 꼽았다. 이어 ▦원자재 가격 상승(31.5%) ▦자금사정 악화(15.2%) ▦판매조건 악화(7.7%) ▦수출수요 감소(7.0%) 등이 지적됐다. 신보의 한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재무구조 악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다는 업체 비율이 31.6%로 지난번보다 2.7%포인트 늘었고 금융권 대출이 어렵다는 업체 비율도 52.6%로 3.9%포인트 증가했다”며 “경기부진과 채산성 악화가 중소기업에 큰 부담을 주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