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간 증시전망] 박스권내 기술적 반등 시도할듯

외국인 매도 불구 1,300선 지켜내 "안정회복" <br>美경제지표 발표·글로벌 금리동향은 변수로


지난주 1,300선을 무난히 방어한 국내 증시는 이번 주 기술적 반등을 시도하면서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금리, 환율 등 대외적인 악재와 외국인의 대규모 매도에도 불구하고 증시가 1,300선을 지켜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악재에 대한 내성이 커지면서 ‘1,300포인트=지지선’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 또 외국인 매도세도 진정되고 있어서 투자심리가 호전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증시에서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서 당분간은 박스권 내에서의 제한적인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경제지표나 1ㆍ4분기 기업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할 때마다 유동성 축소에 대한 우려감 등이 증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스권내 단기반등 시도할 듯= 지난 주 선물ㆍ옵션 동시만기일과 한국, 일본의 금리정책 결정 등 대형 이벤트의 홍수 속에서도 1,300선을 지켜낸 만큼 이번 주는 한숨을 돌리면서 안정을 찾아갈 전망이다. 이영곤 한화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는 단기적으로 반등을 이어가는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면서 “낙폭이 컸던 IT종목과 환율반등에 힘입어 단기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는 수출관련주로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고 말했다. 황금단 삼성증권 연구원도 “이전에는 악재에 대한 노출도가 높았다면 앞으로는 호재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국면으로 넘어가고 있다”면서 “시장은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 주 주가조정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던 외국인 매도세가 완화되고 있다는 점도 수급측면에서 긍정적이다. 대우증권은 “외국인의 매도공세는 일단락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외국인은 낙폭이 큰 대형주나 실적이 뒷받침되는 저평가 중소형주에 대해서는 연초 이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지표, 글로벌 금리동향 관심= 이번주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베이지북 등 경제지표가 줄줄이 예정돼 있다. FRB의 베이지북은 세계 경제의 중심지인 미국의 현 경기를 진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사다. 미국 주택경기 둔화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16일에 발표될 2월 건설허가ㆍ신규주택착공 등 주택관련지표도 시장의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들 지표는 오는 2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연방금리 결정에 영향을 줄 것이란 측면에서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대우증권은 “미국 경제지표는 대체적으로 소폭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미국 경제가 침체로 돌아서는 수준까지는 아니기 때문에 오히려 큰 폭의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를 줄여주면서 증시에는 중립 이상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금리가 시장의 가장 민감한 이슈로 부각한 만큼 미국, 일본의 실세금리도 증시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황금단 연구원은 “금리는 유동성 축소 및 자금이동, 소비위축을 포함한 경기회복 부진의 요인이 된다”면서 “금리 움직임은 당분간 주요 투자지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단 아직까지는 글로벌 유동성이 여전히 견조하고 이머징마켓에 대한 외국인의 선호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 대다수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코스닥도 투자심리 회복= 코스닥시장 역시 650선에 대한 지지가 확인된 이후 투자심리가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강한 상승을 이끌어낼 만한 모멘텀은 없지만 급락 가능성도 상당부분 감소했다면서 680포인트대까지 반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동민 대우증권 연구원은 “이번주 코스닥시장은 650~680선에서 움직일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원화강세 기조가 상대적으로 약화되면서 수출 모멘텀이 부각되는 셋톱박스, 조선기자재 및 기계관련 부품주가 유망하다”고 말했다. 이영곤 한화증권 연구원도 “환율이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단기 낙폭이 컸던 IT종목과 수출관련주로 접근하라”고 조언했다. 이 연구원은 그러나 “주도주가 부각되지 않고 있고 외국인과 기관의 시장참여가 적극적이지 않는 등 뚜렷한 매수주체가 없다는 점은 부담요인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신 연구원은 “최근 유가증권시장이 1,300포인트를 전후로 지루하게 움직이자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리스크를 안고 코스닥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면서 “지난 1월말의 급락과 같은 최악의 상황은 없을 전망이며 그렇다 하더라도 투자자들은 다시 과감히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