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저축銀 재무구조 갈수록 나빠진다

BIS비율 하락ㆍ연체율 급증 "예금자들 조심"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상호저축은행의 재무구조가 날로 악화하고 있다. 초저금리로 은행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상호저축은행에 많은 돈이 몰리고 있지만 운용처가 마땅치 않은데다 연체율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금보험공사 등 감독기구는 부실업체들을 원칙대로 정리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상호저축은행 이용시 예금부분보장한도(1인당 5,000만원) 내에서 가입하는 등 예금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예금보험공사가 최근 공개한 ‘2003회계연도 상호저축은행 경영실적 분석’에 따르면 상호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8.32%로 전년 말 대비 1.61%포인트 떨어졌다. 저축은행의 BIS비율은 2002년 6월 11.21%에서 지난해 6월에는 9.93%로 낮아지는 등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 BIS비율이 5%를 넘지 않아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은 최근 해제된 한신ㆍ전북을 제외하고도 8개사로 집계됐다. 불과 1년 사이 4개나 늘어난 것. 특히 적기시정조치에 근접한 BIS비율 5%대의 저축은행들도 상당수인 것으로 밝혀져 앞으로 추가 부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연체율도 급증하고 있다. 6월 말 현재 연체대출 비율은 21.6%로 전년도 말에 비해 1.6%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300만원 이하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은 2001년 16.3%, 2002년 40.5%에서 지난해에는 57.4%로 급격히 상승했다. 최근 영업정지된 한마음상호저축은행의 경우 소액신용대출 연체율이 80%를 넘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예보의 한 관계자는 “BIS비율 5% 규정을 완화해달라는 일부 상호저축은행들의 요구도 있었지만 원칙을 고수하기로 했다”며 “과거에는 지역경제를 고려해 영업정지를 시키지 않고 끌고 나간 경우도 많았지만 이제는 부실업체는 정리하는 게 기본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시장경제를 잘 지키는 것이 개혁”이라며 “원칙대로 처리해야 일부 방만한 경영을 해왔던 상호저축은행의 마인드도 바뀔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